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미 연방 상원 외교위원회와 하원 외무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면담을 갖고 양국간 동맹 발전과 경제협력 방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이번 면담에는 영 킴(공화당) 하원 외무위 동아태소위원장을 비롯해 진 섀힌(민주당) 상원 외교위 간사, 크리스 쿤스(민주당) 상원의원, 그레고리 믹스(민주당) 하원 외무위 간사 등 4명이 참석했다. 초당적 구성으로 이뤄진 이번 의원단 구성은 한미동맹에 대한 미 의회의 변함없는 지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대통령은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결과를 높이 평가하며 "양국 관계가 국방과 경제, 첨단기술을 아우르는 '미래지향적 포괄동맹'으로 발전할 토대가 구축됐다"고 밝혔다. 이어 조선업과 바이오산업, 국방산업 분야에서 양국간 산업 및 기술협력이 한층 견고해질 수 있도록 의회의 뒷받침을 요청했다.
특히 대통령은 최근 미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한국 기술인력 집단구금 사건을 언급하며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미 의원들도 출입국 비자체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데 뜻을 같이하며, 양국 정부의 개선 노력이 '한국 동반자법(PWKA)' 의회 통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현재 교착상태에 빠진 양국간 무역협상에 대해서도 의견이 오갔다. 대통령은 "협상 진행 중 우리 외환시장에 동요가 일어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쌍방이 '통상적 합리성'에 입각한 해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무제한 통화스와프 체결 등 금융안정 장치 마련의 중요성을 우회적으로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서도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 대통령은 "한반도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면 미국의 '중재자' 역할을 환영하며, 우리는 '촉진자' 입장에서 이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북미 대화 재개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적극 공조해 나갈 것임을 밝히고 의회의 관심과 협조를 구했다.
이에 미 의원들은 "북한 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통령의 노력을 지지한다"며 "한국 정부의 노력이 성과를 거두기를 희망하고 의회 차원에서도 적극 협력하겠다"고 화답했다. 또한 "지난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계기로 주요 전략산업에서 양국 협력이 더욱 공고해지도록 의회가 전력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