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단 소액결제 사건에 이어 KT에서 서버 침해 정황까지 새롭게 드러났다. KT는 18일 밤 11시 57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서버 침해 흔적 4건과 의심 정황 2건 등 총 6건의 추가 침해사고를 신고했다고 19일 공식 발표했다.
이번 신고는 KT가 올해 통신업계 해킹 사건 발생 후 실시한 자체 점검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파악된다. 회사 측은 정밀한 실태 조사를 위해 외부 보안 전문 업체에 용역을 맡겨 회사 전체 서버를 대상으로 약 4개월간 심층 조사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보고서를 통해 새로운 침해 정황이 발견되면서 KT는 즉시 관련 당국에 보고 절차를 밟았다. 이는 그동안 회사가 내부 서버에 대한 해킹은 없었다고 주장해온 기존 입장과는 다른 것이어서 주목된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킹 대응 관련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에서 "KT가 외부 전문업체의 보안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침해사고 사실을 인지했다"며 "전날 밤늦게 정부에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은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이번 소액결제 사건과 새롭게 접수된 침해 사고, 해커 그룹의 주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사실관계를 명확히 하고 공개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국민 피해 예방을 위한 최적의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KT 측은 "앞으로 정부 수사에 전면 협력하여 빠른 시일 안에 침해받은 서버를 특정하고, 상세한 침해 내역과 발생 원인 등을 규명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관련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KT 고객들이 겪은 무단 소액결제 피해는 불법 기지국을 활용한 범죄로 확인됐으나, 소액결제에 필요한 성명,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의 유출 경로는 여전히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 서버 침해 정황 발견으로 두 사건 간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