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페이백 접수 첫 주, 640만명 돌파로 뜨거운 반응

2025.09.22
상생페이백 접수 첫 주, 640만명 돌파로 뜨거운 반응

중소벤처기업부의 상생페이백 프로그램이 개시 일주일 만에 폭발적인 호응을 얻으며 643만명의 신청자를 기록했다. 지난 15일부터 21일까지 접수 기간 동안 집계된 이 수치는 월 최대 10만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다는 혜택에 대한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을 보여준다.

해당 정책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진행되며, 월별 신용카드 사용액이 작년 월평균 소비액을 초과할 경우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제도다. 3개월 총 환급 한도는 30만원에 달한다.

신청자 분포를 살펴보면 수도권 거주자가 347만명으로 전체의 54%를 차지하며 절반을 넘어섰다. 경기도가 173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133만명, 부산 42만명, 인천 41만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 분석에서는 30대가 170만명(26.4%)으로 최다 신청층을 형성했으며, 40대 164만명(25.6%), 50대와 20대가 각각 121만명(18.9%, 18.8%)으로 나타났다.

상생페이백의 인기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애플리케이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디지털 온누리' 앱은 19일 오전부터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에서 다운로드 순위 정상에 오르며 챗GPT 등 기존 인기 앱들을 제치고 1위를 달성했다. 신청 기간 중 해당 앱의 신규 가입자는 553만명이 급증해 누적 가입자 수가 840만명에 근접하게 되었다.

함께 진행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8월부터 10월 12일까지 카드 결제 누적액 5만원당 복권 1장을 제공하는 이 이벤트에서는 대상자 456만명 중 440만명이 복권을 수령했으며, 평균 수령 매수는 9장으로 집계됐다. 중기부는 11월 총 2025명을 선정해 10억원 규모의 경품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신청 기간 동안 디지털 온누리 앱 이용자가 대폭 늘어난 만큼 사용처 확대와 앱 기능 개선을 통해 국민들이 더욱 편리하게 상품권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더 많은 국민이 상생페이백에 참여해 소비 혜택을 누리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 신청은 전용 웹사이트(상생페이백.kr)를 통해 11월 말까지 접수 가능하며,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평일 영업시간에 전통시장 상인회나 소상공인지원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