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 세대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이 상대방에 대해 매우 높은 관심과 호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젊은 세대 간 문화적 친밀감이 실제 교제 의향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엔라이즈가 운영하는 소셜 디스커버리 플랫폼 위피가 지난달 12일부터 17일까지 양국 20-30대 회원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일 연애·교제 인식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확인됐다. 조사 결과 한국 남성 85%가 일본 여성과의 교류에 적극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실제 대면 희망 비율은 96.9%에 달했다.
일본 여성들도 이에 못지않은 관심을 보였다. 한국 남성과의 적극적 교류 희망 응답이 80%, 직접 만남 의향은 83.9%로 집계됐다. 한국 문화에 대한 호의적 시각도 91.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국 남성의 일본 문화 긍정 인식 역시 91.3%를 기록해 양측 모두 상대국 문화에 대한 우호적 감정이 강함을 보여줬다.
이러한 호감은 단순한 친분을 넘어서는 관계 발전 기대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은 각각 72.3%, 73.1%가 '우정에서 연인관계로 진전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혼인까지 염두에 둔다는 답변은 한국 남성이 25.1%, 일본 여성이 9%였다.
반면 한국 여성과 일본 남성은 다소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한국 여성의 일본 문화 호감도는 58.5%에 머물렀고, 교류 참여 의향도 47%로 절반에 못 미쳤다. 일본 남성 역시 한일 교류에 대한 긍정 응답이 70.2%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상대방에 대한 이미지 인식에서도 흥미로운 차이가 발견됐다. 한국 남성은 일본 여성을 '세심하고 배려심 많다'(62.2%), '침착하고 온순하다'(40.8%)로 인식했다. 일본 여성도 한국 남성에 대해 '세심하고 배려심 깊다'(52.6%)는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한국 여성의 43.7%는 일본 남성에 대해 '특별한 인상이 없다'고 답해 대조를 이뤘다. 일본 남성은 한국 여성을 '스타일과 외양이 매력적'(64.9%)이라고 평가했다.
문화 접촉 경로에서도 성별 차이가 드러났다. 한국 여성은 주로 애니메이션·만화(48%), 여행(36.5%), 소셜미디어·유튜브(22.8%)를 통해 일본 문화를 경험했다. 한국 남성은 여행(38.5%), 애니·만화(38.2%), 연애·인적교류(24.5%) 순이었다.
이지혜 위피 프로덕트 오너는 "본 조사는 단순한 선호도 측정을 뛰어넘어 한일 젊은 세대가 서로를 어떻게 바라보고 기대하는지를 드러낸다"며 "양국 이용자들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글로벌 연결 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