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 김용현 방문 조사에도 진술 거부

2025.09.22
특검,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 김용현 방문 조사에도 진술 거부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하고 있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22일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 의혹과 관련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한 방문 조사를 실시했으나, 김 전 장관이 일체 진술을 거부하며 수사에 난항을 겪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서울동부구치소에 수감 중인 김 전 장관을 찾아 외환 혐의 관련 첫 피의자 조사를 진행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정례 브리핑에서 "김 전 장관은 현재 특검팀의 모든 질문에 대해 진술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 전 장관 측 변호인단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적을 이롭게 하고 우리 군을 모독하는 외환 수사를 즉각 중단하라"며 강력 반발했다. 변호인단은 "북한의 오물·쓰레기 풍선 도발 억제를 위한 군사작전의 모든 책임은 김 전 장관에게 있다"며 "임무에 충실했던 군 장병들에 대한 모독적인 수사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 특검보는 "김 전 장관을 제외한 다른 군 장병들은 모두 특검 수사에 성실히 임하고 있다"며 "모든 책임을 지겠다는 장관의 모습이 무엇인지 생각해주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특검팀은 지난해 10~11월 드론작전사령부가 북한 평양과 남포 일대에 무인기를 침투시킨 작전이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한 북한 도발 유도 목적이었다고 의심하고 있다. 특히 김 전 장관이 대통령경호처장 시절인 지난해 6월부터 군 지휘 계통이 아님에도 무인기 작전에 개입했고, 국방부 장관 취임 이후 합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작전을 강행했다는 정황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 전 장관,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 이승오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등 4명을 일반이적 혐의 공모범으로 보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1월 김 전 장관이 이 본부장에게 2~3일마다 "무인기를 띄워라"고 독촉했다는 진술도 확보한 상태다.

한편 특검팀은 외환 의혹의 '정점'인 윤 전 대통령에게도 24일 출석을 통보했으나, 윤 전 대통령 측이 건강상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 제출을 검토하고 있어 조사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박 특검보는 "신속한 진상규명이 가장 우선한 목표"라며 "조사에 적극 응한다면 방문조사도 열려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또한 23일 예정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공판 전 증인신문과 관련해서는 소환장이 폐문부재로 전달되지 않았지만, "증인신문에 출석해 법률가로서 면모를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