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연속적 금리 인하 경계...고용시장은 여전히 견조"

2025.09.25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연속적 금리 인하 경계...고용시장은 여전히 견조"

통화완화 성향으로 알려진 오스틴 굴스비 미국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현재 고용 시장의 안정성을 근거로 성급한 금리 인하에 대해 경계감을 나타냈다. 굴스비 총재는 24일 파이낸셜타임스와의 대담에서 "물가 상승이 단순히 일시적 현상이며 곧 해소될 것이라는 추정 하에 다수의 금리 인하를 과도하게 앞당기는 것에 대해 우려한다"고 표명했다.

그는 중서부 지역의 다수 기업들이 현재도 인플레이션 통제에 대한 걱정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주 연준이 실시한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에는 찬성했으나, 향후 추가적인 인하 조치에 대해서는 신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17일 기존 4.25~4.50%였던 기준금리를 4.00~4.25%로 조정하며 올해 첫 번째 인하를 단행했다. 이는 5차례에 걸친 동결 기조를 유지하다가 9개월 만에 이뤄진 조치였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당시 브리핑에서 "취업 부문의 하락 리스크가 커지면서 인플레이션과 고용 간 위험 균형에 변화가 생겼다"며 "보다 중립적인 정책 기조로의 전환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굴스비 총재는 시카고 연은이 다양한 경제 보고서를 토대로 산출하는 실시간 노동 데이터를 언급하며, 현재 미국 고용시장은 "온화한" 냉각 현상만을 나타낼 뿐 경제 전반의 급속한 위축을 시사하는 징후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동시장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며 탄탄한 상태"라며 4.3%의 낮은 실업률과 직장 이동률이 트럼프 정부의 이민 정책 영향으로 왜곡된 비농업 고용 수치보다 더 실질적인 고용 상황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한편 관세 정책이 물가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단기간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인플레이션이 4년 반 동안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지속적으로 상회해왔으며 "현재 부적절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H-1B 전문직 비자 신청비 10만 달러 부과 계획에 대해서도 "기업가 정신과 혁신 활동을 위축시켜 중장기적으로 생산성 개선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과학 분야 투자와 우수 인력 확보는 생산성 증대와 긴밀한 관계에 있다"고 지적했다.

같은 날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유타대학교 연설에서 "물가 안정 회복과 노동시장 지원을 위한 추가적인 정책 수정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면서도 "이는 약속이 아닌 예측"이라며 신중한 접근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