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국방위원회가 24일 개최한 진영승 합동참모의장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여야 간 격론으로 두 차례나 중단되는 파행을 겪었다. 12·3 비상계엄 관련 수사와 이재명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구상을 둘러싼 정치적 대립이 청문회장을 뜨겁게 달궜다.
첫 번째 파행은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의 발언에서 시작됐다. 박 의원은 순직 해병 사건과 관련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 대한 항명죄 수사 의뢰 필요성을 언급하며 "공군 출신 합참의장이 부임했다고 해서 내란 사건을 대충 넘어가려는 육군사관학교 출신들의 은폐 시도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발언에 육사 31기 출신인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이 강하게 반발했다. 한 의원은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특정 군사학교 출신을 지목해 폄하하는 것은 국방위원으로서 적절하지 않은 태도"라며 "왜 육사 출신이라는 이유로 일반화해서 비판하느냐"고 항의했다.
양측의 감정이 격해지면서 "어디에 손가락질하느냐", "왜 끼어드느냐" 등의 고성이 오갔다. 박 의원은 한 의원이 노무현 정부 시절 사단장으로 진급한 것을 거론하며 "노무현 정권에서 사단장 해먹고"라고 발언했고, 한 의원은 "무엇을 해먹었다고 하느냐"며 격렬히 반응했다. 성일종 국방위원장은 결국 오후 2시 17분경 회의를 중단시켰다.
1시간 16분 만에 재개된 청문회에서 한 의원은 "육사 출신이라고 해서 모두 동일한 사고를 갖는 것이 아니며, 과거 민주당 의원을 지낸 천용택·조성태 전 장관, 서정표·백군기 전 사령관 등 다양한 정치적 성향을 보여왔다"고 해명했다. 그는 "군 진급을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선을 그었다.
두 번째 파행은 이재명 대통령의 'END(교류·관계정상화·비핵화) 이니셔티브'를 둘러싼 논쟁에서 발생했다. 국민의힘 강선영 의원이 "북한이 1993년부터 생사를 걸고 개발해온 핵무기를 단순한 교류와 관계정상화만으로 포기하겠느냐"며 현실성을 의문시했다.
이어진 박 의원의 질의에서 "후보자께서 말이 안 되는, 질문다운 질문이 아닌 것들에 답변하느라 수고가 많으시다"는 발언이 나오자 여당 의원들이 일제히 반발했다. 성일종 위원장이 제지하자 박 의원은 "내 관점"이라며 "여러분은 훈계조로 질문하면서 나는 왜 훈계조로 말하면 안 되느냐"고 맞섰다. 청문회는 다시 48분간 중단됐다.
한편 여야는 이날 2025년도 국정감사 일정도 확정했다. 국방위 국감은 다음 달 13일부터 30일까지 실시되며, 국방부·병무청·방위사업청 등 총 68개 기관이 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