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가 임기 100일을 맞아 내란 척결 의지를 재확인하며 여야 협치에서도 확고한 원칙을 제시했다. 김 원내대표는 21일 국회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내란 관련 세력에 대해서는 어떠한 관용도 없을 것"이라며 "민생은 여야가 함께하되 내란 문제는 철저히 구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내란의 실체와 책임을 규명하지 않고서는 국가 정상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저의 변함없는 신념"이라며 "내란 세력을 완전히 뿌리뽑겠다는 다짐을 지속해왔고 이는 현재진행형"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국정조사에서 위증한 인물들을 처벌하기 위해 증언감정법 개정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의 핵심 과제로는 정부조직법 신속 통과를 통한 내각 안정화와 국정 추진력 확보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아울러 가짜정보 척결법과 사법개혁법 등 개혁 법안들을 일정대로 처리하고, 경제 형벌 개선 차원에서 배임죄 폐지도 정기국회에서 완료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내란전담재판부 설치 논란에 대해서는 "사법부를 공격하려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책"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년 1월 석방될 가능성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사법부가 내란 사건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처리하겠다는 명확한 입장을 표명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국민의힘의 장외투쟁에 대해서는 "명백한 선거 결과 불복"이라고 규정하며 "내란에 대한 반성 없이 벌이는 투쟁에는 정당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민생 현안에서는 언제든 대화할 용의가 있지만 내란 문제만큼은 타협의 여지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는 '내란 청산과 민생 회복'을 목표로 설정하고, 검찰의 부당한 기소로 피해를 당한 국민들의 사례를 수집하는 사법피해신고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2026년도 예산안은 미래 투자 성격의 중요한 법안인 만큼 법정 기한 내 반드시 처리하겠다고 다짐했다.
정청래 당대표와의 관계 개선에 대해서는 "가까운 사이일수록 의견 충돌이 있을 수 있지만 현재는 이전보다 훨씬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며 갈등설을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