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말 기준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에서 잠재적 손실 위험을 안고 있는 자산 규모가 2조49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감독원이 23일 공개한 현황자료에 따르면, 이는 선제적 손실인식 조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향후 추가 손실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전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규모는 55조50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분기 대비 5000억원 줄어든 수치다. 금융권 전체 자산 7392조7000억원과 비교하면 0.8% 수준에 해당한다.
업권별 분포를 살펴보면 보험사가 30조3000억원으로 전체의 54.6%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뒤이어 은행권이 12조1000억원(21.9%), 증권사 7조5000억원(13.6%), 상호금융기관 3조4000억원(6.1%), 여신전문금융회사 2조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서로 나타났다.
투자 지역별로는 북미지역이 34조4000억원으로 62.1%의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다. 유럽지역 10조3000억원(18.5%), 아시아지역 3조7000억원(6.7%), 기타 및 복합지역 7조원(12.7%)이 그 뒤를 따랐다.
만기 구조를 보면 전체 투자액 중 5조8000억원이 올해 안에 만료되며, 2030년까지 37조1000억원의 만기가 집중돼 있어 향후 재투자 전략 수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우려스러운 부분은 기한이익상실(EOD) 발생 현황이다.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부동산 사업장 32조9000억원 가운데 7.57%에 해당하는 2조4900억원에서 EOD 사유가 발생했다. 이는 채무불이행이나 담보가치 하락 등으로 만기 이전에 투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해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높은 금리 환경과 정책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산업시설과 주거용 부동산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오피스 섹터는 재택근무 확산 등 업무 패턴 변화로 인한 근본적 수요 감소와 20.4%에 달하는 높은 공실률로 인해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들의 오피스 투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고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시스템 전체로 위험이 확산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한 손실인식의 적절성 검토와 감정평가의 시의성 제고 등 표적화된 감독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 시행에 맞춰 펀드자산에 대한 외부 전문기관의 정기적 평가를 통해 합리적 손실 인식을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