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중앙회 회장들과 19일 농협중앙회에서 간담회를 가지고 지역금융기관으로서 역할 강화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만남에서 고객보호 체계 구축과 운영혁신이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이 원장은 "상호금융권이 대규모 금융기관들이 미치지 못하는 지방 곳곳에 서민대출을 제공하는 핵심적 임무를 수행해왔다"며 "지방경제 침체 상황에서 본래 협동조합 기능에 더욱 충실하여 공동체 중심 금융을 확대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금융고객보호법 적용을 받지 않는 농협·수협·산림조합에 대해서도 타 금융업과 유사한 고객보호 시스템을 마련하고 주요 고객권리를 스스로 보장할 것을 요청했다. 이 원장은 "이용자들은 지역사회에서 조합과 상생하는 공동체 일원으로 보다 세심한 보호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세한 조합이 많은 업계 특성을 고려해 효과적인 내부관리 시스템 확립도 주문했다. 조합 단독으로는 충분한 내부견제가 어려울 수 있다는 판단에서 중앙회가 중심이 되어 부정대출과 대출사기 차단을 위한 전산화·체계화된 첨단 내부관리 시스템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공동결속에 기반한 원래 자금지원 역할 강화도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이 원장은 상호금융이 타 업종보다 '인적금융'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조건과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며, 지방 내 질적 정보를 활용해 대형 금융사가 진입하기 힘든 '틈새영역'을 개척하며 지방 주민들에 대한 자금지원에 역량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부실PF 해소 등 건전성 향상을 강조했다. 그는 건전성 유지가 지방 공동체 주민들이 조합을 신뢰하고 거래를 이어가기 위한 가장 근본적 조건임을 언급하면서, 하반기 중 부실PF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중앙회의 취약조합 밀착관리와 효과적 조치를 강조했다.
상호금융 중앙회장들은 "지방 내 1차산업 종사자와 고령층 등 취약층이 주로 활용하는 업종인 만큼 금융고객 보호에 더욱 관심을 두고 지원을 계속하겠다"며 "지방 곳곳의 영업망을 이용해 취약층의 금융접근성 향상과 서민대출 제공을 위해 지속 노력하되, 음성피싱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운영과 대출거래 안전차단 서비스 제공 등으로 금융사고 예방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