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한 AI·딥테크 유니콘 육성을 위한 벤처투자 정책 간담회가 18일 서울 서초구 한국벤처투자에서 개최되어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이번 회의는 차세대 유니콘 발굴·육성을 위한 대규모 펀드 운용사 선정이 완료됨에 따라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정부는 2차 추경을 통해 확보한 3000억원 규모의 예산으로 총 6100억원에 달하는 벤처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 중 기업당 평균 100억원 이상을 투자하는 스케일업 분야에는 쿠팡이 750억원을 출자하여 화제가 되었다.
간담회에서 딥테크 스타트업들은 학력이나 기존 기준보다 기술력을 중심으로 평가해달라고 요청했다. 뉴빌리티 이상민 대표는 "이번 펀드가 박사 출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길 바란다. 해외 투자 시에는 학력을 묻지 않았다"며 실질적인 혁신 능력을 봐달라고 강조했다.
대규모 시설 투자가 필수적인 AI·딥테크 분야 특성상, 참석 기업들은 투자·보증·세제가 연계된 통합 지원 체계 구축을 건의했다. 스탠다드에너지 김부기 대표는 "받은 투자금 1200억원 중 R&D 지원은 50억원에 불과하다"며 정부 지원 간 균형을 맞춰달라고 요구했다.
선배 기업들도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보였다. 박대준 쿠팡 대표는 "AI 3대 강국 달성을 위한 혁신 스타트업 성장을 돕고자 750억원 출자를 결정했다"며 "AI 기반 물류 혁신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 성공 사례를 만들도록 인프라와 실증 협업을 아낌없이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토스 서현우 CFO는 스케일업 단계에서 정부 기관의 대규모 투자가 시장에 긍정적 신호를 보내 후속 글로벌 투자 유치에 결정적 도움이 되었다고 경험을 공유하며 정부의 과감한 투자 확대를 당부했다.
운용사로 선정된 벤처캐피탈들도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KB인베스트먼트 윤법렬 대표는 "기업당 100억원 이상 스케일업 투자를 목표로 한 최초의 정책펀드"라며 새 정부의 생산적 금융 기조에 맞춰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선배 기업의 경험과 네트워크, 후배 기업의 혁신 기술과 아이디어, 그리고 벤처캐피탈의 대담한 투자가 결합된 선순환 구조가 자리잡으면 더 많은 국가대표 빅테크 기업이 나올 것"이라며 "오늘 나온 현장 의견들을 하반기 발표 예정인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에 반영해 글로벌 수준의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