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의 고율 관세로 타격을 받는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기업들과 만나 "정부 지원 제도를 인지하지 못해 혜택을 받지 못하는 회사가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서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업체 지원 간담회를 주재하며 이같이 밝혔다고 산업부가 발표했다. 김 장관은 "미국이 반도체, 의료용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시사하는 등 수출 여건의 불안정성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현재 미국 측과 투자 패키지 세부 내용 등에 대해 긴밀하게 논의 중이나 협상 진행이 순조롭지 않은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 통합 관세 대응 창구로 정착한 '관세대응 119'를 '관세대응 119 플러스'로 확대 개편하고 현장 애로사항을 새로운 서비스, 제도로 연결하는 피드백 기능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산업부는 이날 지난 2월 개설한 관세 문제 상담 창구인 '관세대응 119'를 범정부 협력 체계로 개편·발전시킨 '관세대응 119 플러스'를 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관세대응 119 플러스는 향후 △미국 정부에 대한 수출업체 관세 애로 의견서 제출 지원 △미국 관세청 사전심사제도(CBP E-ruling) 신청 컨설팅 △미국 세관의 사후 검증 요구서류 대응 △철강 함량 가치 산정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철강 파생상품 업체를 위해서는 미국 현지 전문가가 상시 1대1 상담을 제공하는 서비스도 운영하기로 했다.
업체들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 관련해 김 장관은 "9월 초 발표한 5700억원 규모 지원과 긴급 할당관세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추가적인 지원방안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산업부는 지난 3일 관계 부처 합동으로 '美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하고 미국으로부터 50%의 품목 관세를 받은 철강, 알루미늄, 구리, 파생상품 수출 회사를 위해 총 5700억원 규모의 특화 지원책을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장관은 이어 '철강 파생상품 관세 대응 설명회·상담회' 현장을 방문해 온라인 관세 확인 시스템을 통해 품목번호(HS코드)별 관세율을 확인하고,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함량 가치 산정 등을 직접 점검하기도 했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코트라가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 현황을, 서울세관 등이 수출업체 유의사항과 관세 절약 전략을 공유했다. 1대1 맞춤형 상담회에는 100여 개 업체가 참여해 미국·한국 변호사, 관세사 등으로부터 심층 상담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