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간 민간 건설업계에서 일어난 작업장 사고가 2만건을 넘어섰으며, 매일 평균 13건의 재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에서 받은 통계에 따르면, 2021년부터 금년 6월까지 민간 건설업체에서 일어난 업무상 재해 인정 사례는 총 2만94건에 이른다.
이번 조사에서 목숨을 잃은 근로자는 210명이었으며, 상해를 입은 근로자는 1만9884명으로 파악됐다. 연차별 추이를 살펴보면 업무상 재해는 지속적인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21년 2890건에서 시작해 2022년 3633건, 2023년 4862건으로 늘어났고, 작년에는 5863건을 기록했다. 금년 상반기에만 이미 2846건이 발생해 2021년 전체 수치에 근접한 상황이다.
근로복지공단의 건설업체 재해 승인 자료는 주로 작업장에서 일어난 질환이나 사고를 다루고 있지만, 통근이나 기타 현장 밖에서 일어난 업무 관련 사고도 대략 5% 정도 포함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업무상 재해 발생 빈도가 높은 상위 10개 건설업체를 보면 대우건설이 2514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현대건설 1875건, GS건설 1705건, 한화건설 1574건, 롯데건설 1372건 순으로 집계됐다. 그 뒤를 삼성물산 1270건, SK에코플랜트 1221건, 포스코이엔씨 1158건, 현대엔지니어링 1064건, DL이앤씨 935건이 따랐다.
특히 대우건설의 경우 2021년 324건에서 작년 725건으로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사망자만 33명에 달해 작업장 안전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민홍철 의원은 "건설현장에서의 사고가 여전히 감소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반복적으로 사고가 일어나는 업체들에 대해서는 보다 강력한 처벌 방안을 마련하고, 사고 예방에 중점을 둔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