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올해 추석 명절 과일시장에 예상치 못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가정용 과일 구입 계획을 묻는 질문에서 작년 대비 구매량을 줄이겠다는 응답이 35.7%로 나타났으며, 늘리겠다는 의견은 9.5%에 그쳤다. 전년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답변은 54.8%를 기록했다.
구매 의사가 위축된 주된 원인으로는 경제적 부담이 62.1%로 압도적이었고, 이어 가족들의 기호 변화(11.9%), 가구원 수 감소(8.8%), 품질 우려(8.8%) 등이 뒤따랐다. 하지만 실제 시장 상황은 소비자들의 걱정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명절 2주 전부터 시작되는 성수기 동안 주요 과일의 시장 공급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이다. 사과는 전년 동기 대비 6.5%, 배는 7.2%, 단감은 무려 119.3%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관측됐다. 올해 추석이 상대적으로 늦게 찾아온 데다 이상 고온으로 인한 수확 시기 지연이 명절 시점과 맞아떨어지면서 물량 집중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단감의 경우 작년에는 이른 명절과 성장 지체로 출하가 제한적이었으나, 금년에는 대부분 품종이 정상적으로 시장에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센터 측이 설명했다.
선물용 과일 선호도 조사에서는 사과가 35%로 1위를 차지했고, 배 12.9%, 애플망고 12.1%, 포도 11.2% 순으로 집계됐다. 과일 선물세트 구입 예산으로는 3만원에서 5만원 사이가 40.4%로 가장 많았으며, 5만원대에서 7만원 구간이 31.9%로 그 뒤를 이었다.
구입처 선택에서는 대형 유통매장이 53.9%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고, 온라인 쇼핑(8.8%), 도매시장 내 중간상인 점포(6.5%), 과일 전문점(6.2%) 등이 소수 의견을 형성했다.
이번 추석의 특징적인 변화는 전통 차례상 준비 가정의 급격한 감소다. 차례를 지내겠다는 응답이 40.4%로, 2016년 조사 때의 74.4%와 비교해 34%포인트나 떨어졌다. 반면 전통 방식을 간소화해서 준비하겠다는 비율은 58.4%로 과거 29.8%의 약 2배 수준으로 늘었다.
긴 연휴 계획으로는 고향이나 친척 방문이 54.2%, 집에서의 휴식과 여가활동이 34.9%의 비중을 보였다. 명절 음식 장보기는 추석 2-4일 전 집중될 예정이며, 예상 지출 규모는 30만원대가 34.1%로 최다를 차지했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활용 계획도 조사됐는데, 1차 쿠폰은 외식(37.5%), 생활필수품(20%), 농축산물(17.3%) 순으로 사용됐지만, 2차 쿠폰 사용 예정 분야는 농축산물(31.4%), 외식(30.4%), 생활용품(20%) 순으로 우선순위가 바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센터는 지급 시기가 명절과 겹치면서 관련 품목 소비가 집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