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버스노조, 총파업 찬성률 97.9% 기록…다음달 1일 운행중단 초읽기

2025.09.23
경기지역 버스노조, 총파업 찬성률 97.9% 기록…다음달 1일 운행중단 초읽기

경기도내 50개 버스업체로 구성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가 23일 실시한 파업 찬반투표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집단행동을 결정했다. 전체 조합원 1만9384명 중 90.6%에 해당하는 1만7576명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이 중 1만7207명이 찬성표를 던져 97.9%라는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투표는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각 버스업체별로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이번 결과로 노조측은 합법적인 쟁의행위 권한을 확보하게 되었다. 협의회에는 경기도 전체 노선버스의 95%를 담당하는 50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어,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도민들의 교통불편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협의회 산하에는 준공영제 2300여대, 민영제 7100여대, 시외버스 800여대 등 총 1만여대의 차량이 운행 중이다. 소속 조합원 규모는 1만9000여명으로, 이는 경기지역 버스기사 전체의 90% 가량에 달하는 수준이다.

노사갈등의 핵심은 근무여건과 임금격차 해소에 있다. 노조측은 민영제 노선에서 운영되고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일일 17시간에 달하는 과도한 노동을 야기한다고 주장하며, 준공영제와 동일한 1일 2교대 체계 도입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또한 운영형태에 따른 임금차별을 철폐하고 동등한 보수체계를 적용해달라고 촉구했다.

준공영제 노선 관련해서는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을 반영한 서울 버스노조의 올해 임금인상률인 8.2%에 상응하는 수준의 급여 조정을 요구했다. 아울러 2027년까지 전체 노선에 공공관리제를 확대 시행하겠다는 기존 노사정 합의사항을 경기도가 확실히 이행할 것을 약속해달라고 주문했다.

반면 사용자측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경영상 어려움을 이유로 민영제 노선의 탄력적 근로시간제 지속과 임금동결 입장을 고수하며 노조 요구를 거부하고 있어 양측 간 입장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협의회는 지난달 1일 사측과의 단체교섭에서 최종 결렬을 선언한 후 15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서를 제출했다. 15일간의 조정기간 동안 1차 회의는 23일 오후 5시에 개최되었으며, 30일 예정된 최종 조정회의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익일인 10월 1일부터 전면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지난 4월부터 9월 1일까지 총 7차례 진행된 임금교섭이 모두 무산된 상황에서, 노조 관계자는 "버스 현장의 차별과 불평등을 종식시키고 도민들이 안전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노동자들의 의지가 이번 투표결과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한편 통상임금 산정방식을 둘러싸고 사측과 갈등 중인 서울버스노조로부터 연대파업 제안을 받아 내부검토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파업시점의 차이로 인해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