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다양한 의혹을 조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수사기간을 30일 더 늘리기로 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박상진 특검보는 정례브리핑에서 "특검법상 90일 수사기간 만료를 앞두고 어제 연장을 결정했으며, 그 근거를 대통령과 국회에 문서로 통보했다"고 밝혔다.
연장 배경에 대해 특검 측은 "진행 중인 핵심 수사들에서 추가적인 조사와 자료 확보를 통해 사안의 실체를 규명하고 기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지난 7월 2일 출범한 특검팀의 활동기한이 다음 달 29일까지 늘어나게 됐다.
특검팀이 계속 들여다봐야 할 사안으로는 삼부토건 주식가격 조작 건, 코바나컨텐츠의 후원업체 뇌물 수수, 대통령 관저 이전 과정 특혜 논란 등이 거론됐다. 특검 관계자는 "이런 사건들의 조사가 아직 충분히 익지 않았다"며 "좀 더 면밀하게 파헤치는 것이 우리 방향"이라고 언급했다.
수사 인력도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전날 국무회의에서 통과된 특검법 개정안에 따라 특검보 2명, 파견검사 30명, 파견공무원 60명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게 됐다. 특검팀은 각 조사팀별 인력 필요량을 파악한 뒤 단계적으로 충원할 계획이며, 이에 맞춰 사무공간도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개정 법안이 공포되면 특검팀은 최대 180일까지 활동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30일씩 두 번 연장해 최장 150일이었지만, 특검 판단으로 한 번 더 30일을 늘릴 수 있는 여지가 생긴 것이다.
이날 특검팀은 여러 핵심 인물들을 동시에 불러 조사를 진행했다. 오전에는 양평고속도로 종착점 변경 의혹과 연관된 국토교통부 김 모 서기관을, 오후에는 통일교 정교유착 의혹의 중심인물들인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과 한학자 통일교 총재를 각각 소환했다. 권 의원은 전날 조사 불응 후 변호인 권유로 이날 출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특검팀은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자녀의 학교폭력 사건 무마 의혹에 대해서도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2023년 해당 사건 직후 김 여사가 교육부 차관과 통화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처분 과정에 부당한 개입이 있었는지 조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