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의 수도요금이 전국에서 가장 저렴하며 수질 또한 최상급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강원 강릉지역의 물 부족 사태가 주목받는 상황에서 대전의 안정적인 물 공급 체계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가 21일 발표한 환경부의 '2023년 전국 지역별 수도요금 평균단가'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전의 수도요금은 1톤당 579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인 796원에 비해 27% 저렴한 수준이며, 17개 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500원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저렴한 요금의 핵심 요인은 대청호의 우수한 조건에서 찾을 수 있다. 14억 9000만 톤의 거대한 저수 용량을 보유한 대청댐은 1981년 가동 개시 이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용수 부족 사태를 경험하지 않을 정도로 풍부한 수량을 자랑한다. 금강 수계에 속한 대청호는 한강이나 낙동강 수계와 비교해 비점오염원이 현저히 적어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기준 최상위인 1a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1980년 대청댐 건설 당시 체결된 특별 협약이 현재의 저렴한 요금 구조를 가능하게 했다. 당시 대전시는 정부와의 합의를 통해 댐 건설비의 9%와 지속적인 유지관리비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원수 사용료 면제 혜택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현재 한국수자원공사의 일반 댐용수 공급 단가인 톤당 53원의 20% 수준인 11원에 원수를 조달받고 있다.
청정한 원수는 정수 과정에서의 비용 절감으로도 이어진다. 응집제, 분말활성탄, 염소 등 각종 화학 처리제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에너지 소비도 최소화되어 전체적인 생산원가 하락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대전시는 수질 관리에도 과학적 접근법을 도입하고 있다. 대청호 내 수중 폭기시설을 가동해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비점오염원 감축을 위한 인공식물섬과 인공습지를 조성해 조류 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다. 또한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24시간 감시 체계를 구축했다.
정수 처리 과정에서는 표준 공정에 오존 처리와 입상활성탄 단계를 추가한 고도정수처리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법정 수질관리 기준인 60개 항목을 훨씬 상회하는 247개 항목에 대한 정밀 검사를 실시해 미량 오염물질과 병원성 미생물까지 완벽하게 제거하고 있다.
미래 대비 투자도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30년까지 총 1825억 원을 투입해 300킬로미터에 달하는 노후 상수관을 전면 교체할 계획이며, 매년 300억 원씩 투입해 50킬로미터씩 단계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아울러 2028년까지 1664억 원을 들여 월평정수장과 신탄진정수장에 60만 톤 규모의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대전의 우수한 수돗물은 시 경계를 넘어서도 공급되고 있다. 현재 세종시에 일일 8만 2000톤, 계룡시에 1만 7000톤을 공급하고 있으며, 2026년부터는 충북 청주시 현도 일반산업단지에도 연간 146만 톤을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이종익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청정한 대청호 원수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정수처리와 철저한 수질검사를 통해 시민들이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는 최고 품질의 수돗물을 생산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시설 현대화와 관리 역량 강화를 통해 전국 최고 수준의 물관리 능력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