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소속 예방접종자문위원회가 19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그 누구에게도 추천하지 않으며, 접종 결정을 개인 의사에 맡기라는 권고를 발표했다. 이는 65세 이상 고령층과 고위험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지침이다.
자문위는 대신 개인이 의료진과의 상담을 거쳐 스스로 접종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라고 제안했다. 이러한 권고안은 과거 사례가 없는 것으로 AP 통신이 보도했다. 아울러 자문위는 CDC의 백신접종 안내 자료에 코로나19 백신의 위험성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와 강화된 경고문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했다.
이번 권고는 기존 미국의 코로나19 접종 정책과 상반된다. 지금까지 미국에서는 코로나19 백신이 인플루엔자 백신처럼 가을철 정례 예방접종으로 권장되어 왔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회 투여되어 안전성이 검증되었다는 의료계와 백신 제조업체들의 판단에 근거한 것이었다.
하지만 백신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을 표명해 온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취임 후 국가 백신 정책 개편에 착수하면서 변화가 시작되었다. 케네디 장관은 지난 6월 자문위원 전체를 교체하고 자신과 유사한 백신 회의적 입장을 가진 인물들을 새로 임명했으며, 'CDC 개혁'에 반대한다는 명목으로 수전 모나레즈 CDC 국장도 해임시켰다.
의료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인한 혼란을 우려하고 있다. 필라델피아 아동병원의 폴 오핏 백신교육센터장은 "누구든 이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고위험군에게도 접종을 추천하지 않는다는 점은 문제"라고 언급했다. 숀 오리어리 미국소아과학회 감염병위원장은 백신에 대한 불신을 의도적으로 부추기는 시도가 있었다며 "이것이 미국 아동들에게 즉각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자문위의 권고안은 관례에 따라 CDC에서 곧바로 수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될 경우 해당 지침은 미국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건강보험사의 보험 적용 결정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백신 권고를 둘러싼 혼란이 심화되면서 일부 주정부들은 CDC 및 FDA와는 독립적으로 자체 백신 지침을 마련하겠다고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오는 22일부터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이 개시된다. 이번 절기부터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에 따라 기존 4가 백신에서 3가 백신으로 전환되었으나, 효과성과 안전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자 등 코로나19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예방접종은 10월 15일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