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청계천 일대에서 운전석과 핸들이 완전히 없는 자율주행 셔틀버스가 23일부터 본격 운행을 시작했다. 기존의 자율주행 차량들이 시험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 있는 방식이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조종석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완전한 형태의 무인 교통수단이 서울 시내를 달리게 됐다.
'청계A01'로 명명된 이 셔틀은 청계광장부터 세운상가를 거쳐 광장시장까지 총 4.8㎞ 왕복 구간을 운행한다. 국내 기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순수 국산 기술로 제작한 'ROii' 모델이 투입되며, 차량에는 라이다 센서 4대와 레이더 5대, 카메라 8대가 장착되어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한다.
승차 정원은 안전관리자 1명을 제외하고 최대 8명이며, 비상상황에 대비해 조이스틱을 통해 수동 제어가 가능한 관리인원이 상시 동승한다. 차량 내부에는 자율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대형 모니터와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승강 장치 등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운행 시간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50분까지이며, 점심시간을 제외하고 30분 간격으로 하루 11차례 운행된다. 양방향 11개 정류소에 정차하며, 정류소의 안내 단말기나 포털사이트 지도 검색을 통해 실시간 운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일반 시내버스와 동일하게 교통카드를 태그해야 승차 가능하다. 서울시는 시범 운영 기간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요금을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료화 이후에도 기후동행카드 이용자는 무제한 탑승이 가능하며, 다른 대중교통과의 환승 할인 혜택도 적용된다.
실제 시승 과정에서는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일부 개선점도 드러났다. 불법 주차 차량이나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보행자, 오토바이 등을 정확히 감지하여 안전하게 회피했지만, 감속과 정차 시 다소 급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승차감에서는 아쉬움이 있었다. 특히 도심의 복잡한 교통 상황에서는 속도가 상당히 제한되어 뒤따르는 차량들이 경적을 울리는 경우도 발생했다.
청계천 구간은 상업 지구의 특성상 화물차 불법 정차, 오토바이 통행, 무단횡단 등 자율주행에 어려운 조건들이 많아 기술 검증에는 최적의 환경으로 평가된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현행 법규에 따라 자동으로 수동 모드로 전환되어 안전관리자가 직접 조작하게 된다.
서울시는 이번 운행을 통해 도심 혼잡 구간에서의 자율주행 기술을 검증하고, 향후 승차감과 운행 속도를 개선해 서비스 안정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기술 고도화를 통해 야간 운행과 노선 확대도 검토하며, 궁극적으로는 완전 무인 운행 체계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