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을버스 "20년 환승손실 1조원…내년 1월 환승체계 이탈"

2025.09.22
서울 마을버스 "20년 환승손실 1조원…내년 1월 환승체계 이탈"

서울 마을버스업계가 만성적인 재정난을 이유로 2025년 1월 1일부터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에서 공식 탈퇴하겠다고 선언했다.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22일 영등포구 조합사무실에서 기자설명회를 개최하고 환승협약 해지를 담은 공문을 서울시에 발송했다고 발표했다.

김용석 조합 이사장은 "2004년 7월 환승정책 시행 이전까지는 140개 마을버스업체가 시의 재정지원 없이도 승객요금만으로 정상 운영했다"며 "하지만 환승제 참여 후 승객이 지불한 전체 요금을 받지 못하고 손실이 누적되는 구조가 고착화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마을버스 기본운임은 1200원이지만 승객이 지하철이나 시내버스로 환승할 경우 업체가 받는 정산금액은 676원에 불과하다. 이는 승객 1인당 524원의 적자를 의미한다. 조합은 이러한 환승손실금이 연간 평균 1000억원 발생해 20년간 누적손실액이 1조원을 초과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서울시가 시내버스의 할인손실분은 전액 보전하는 반면 마을버스는 적자업체에 한해 일부만 지원하는 차별적 처우를 문제로 지적했다. 조합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2년 495억원, 2023년 455억원, 올해 415억원을 마을버스 지원에 투입했지만 실제 손실규모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마을버스가 환승체계에서 이탈할 경우 승객들은 더 이상 지하철, 시내버스와의 환승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다. 환승통합단말기 대신 마을버스 전용 카드단말기로 1200원을 별도 결제해야 한다.

서울시의 반응은 냉담하다. 시는 그간 매년 수백억원을 적자보전에 투입해왔으며 운행률과 배차간격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업체들의 단순한 적자보전 요구를 전부 수용하기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등록차량 기준의 보조금 지급방식이 일부 업체의 과다 수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실제 운행실적 기반의 지원체계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합은 서울시에 운임정산 규정 변경, 환승손실액 보전방안 규정 신설, 물가 및 임금상승률을 반영한 운송원가 현실화 등 3대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23일 긴급이사회를 통해 향후 대응방안을 최종 결정하고 요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환승제 탈퇴를 위한 실무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마을버스 1600여대가 환승체계에서 빠질 경우 교통약자와 산간지역 주민들의 이동권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가파른 언덕과 좁은 골목길이 많은 지역 주민들에게는 대체할 교통수단이 마땅치 않아 추가 교통비용 부담이 불가피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