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도심 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하는 '도시바람숲' 사업이 올해 총 30개 지역에 7만4280㎡ 규모로 완성된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주변 산악과 하천에서 발생하는 차가운 공기를 시내로 유도해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는 8월 말까지 28개 지역에 7만1780㎡의 숲을 완성했으며, 10월까지 성동구 성수초등학교 옥상 500㎡와 동대문구 망우로 2000㎡ 등 2곳에 추가 조성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로써 연내 계획된 전체 면적이 조성된다.
이 사업은 2023년 산림청과의 협력으로 시작됐다. 작년에는 강변북로 성수대교 인근 녹지대 등 7곳에 1만8040㎡를, 올해는 남산 등 21곳에 5만3740㎡를 새롭게 조성했다. 현재까지 남산, 서울숲, 중랑천, 능동로 등 주요 위치에 교목 1195그루, 관목 13만1812그루, 초화류 39만9456송이가 심어졌다.
도시바람숲은 북한산, 도봉산, 관악산 등에서 생성되는 신선한 공기가 한강과 지천을 따라 도심으로 흘러들 수 있도록 돕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도시 내부에 축적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도시 열섬 효과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전체 사업이 완료되면 연간 이산화탄소 약 51톤과 각종 대기오염물질 1만2432kg을 정화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됐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에 따르면 1헥타르의 숲은 연간 이산화탄소 6.9톤과 미세먼지 168kg을 흡수하며, 가로수가 있는 지역은 주변 온도를 4.5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환경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오염물질 흡수 능력이 뛰어난 수종을 선별해 식재했다. 소나무, 배롱나무, 황금사철, 미선나무, 히어리, 박태기, 옥잠화, 억새 등이 주요 식물로 활용됐으며, 도시 경관 향상을 위한 정원 요소도 함께 적용했다.
향후 서울시는 조성된 숲의 계절별 효과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할 계획이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도시숲, 자녀안심 그린숲 등 지역별 특성과 주민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도시 녹화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수연 정원도시국장은 "도시바람숲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 흡수원 확충과 도시 경관 향상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사업"이라며 "시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녹색 혜택을 제공하고 탄소중립 도시 구현을 위한 '정원도시 서울'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