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 추모 조형물 건립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유가족과 충북도의회 간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충북도가 지난 6월 유족들과 도청 내 설치에 합의했으나, 도의회가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하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22일 오송참사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이양섭 도의장과 이태훈 건설환경소방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양측은 서로 다른 견해를 재확인했다. 최은경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는 "2년간의 논의 끝에 도청 연못 인근으로 최종 결정된 상황에서 예산 삭감은 원점 회귀와 같다"며 강한 불만을 표했다.
유족 측은 특히 "충북도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결정한 사안인데, 도의회가 이를 혐오시설로 취급하는 것 아니냐"고 날선 비판을 제기했다. 또한 "일하는 밥퍼 사업에는 10억원을 배정하면서 추모비 건립비 5천만원을 삭감한 이유를 모르겠다"며 의회의 일관성 없는 태도를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양섭 의장은 "도민 전체의 공감대 형성이 부족한 상태"라며 "집행부와 의회 간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던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확실한 해결책 제시는 하지 못한 채 "의원들과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원론적 입장만 되풀이했다.
이태훈 위원장도 "관공서에 추모시설을 조성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이 여야 의원들 사이에 존재한다"며 반대 논리를 펼쳤지만, 명확한 대안은 제시하지 않았다.
한편 김영환 충북지사는 별도 기자 간담회에서 "유족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의회 설득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밝혔다. 앞서 도의회는 지난 16일 428회 임시회에서 추모 조형물 설치비를 포함해 15억8천만원을 삭감한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23일에는 오송참사 국정조사 청문회가 개최된다. 김영환 지사와 이범석 청주시장,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 등 증인 23명과 참고인 5명이 출석해 참사의 책임 소재와 검찰 수사의 적정성 등이 집중 조명될 예정이다. 특히 김 지사에 대한 불기소 처분 과정에서 이동옥 행정부지사의 역할과 검찰의 봐주기 수사 의혹이 핵심 쟁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국정조사는 25일 결과보고서 채택으로 마무리되며, 추가 수사 요청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 등이 주요 내용으로 포함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