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19일 발표한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37주차(9월 7~13일) 전국 221개 병원급 의료기관의 코로나19 입원환자는 46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주(433명)보다 6.2% 늘어난 수치로, 6월 말 26주차(63명) 이후 11주째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 주목할 점은 환자 구성이다. 올해 누적 입원환자 5766명 중 65세 이상 고령층이 3509명(60.9%)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50~64세가 1019명(17.7%), 19~49세가 597명(10.4%) 순으로 나타나 연령층이 높을수록 입원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고령층 환자는 지난주 대비 약 300명 가까이 늘어나는 등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송파구 거주 40대 여성 이씨의 사례는 현재 상황을 잘 보여준다. 체육대회 응원 후 목 아픔과 기침, 발열, 두통 등의 증상을 겪은 이씨는 처음엔 단순한 과로로 여겼으나, 증상이 악화되자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현재 재택근무를 하며 회복 중이다.
현재 코로나19 검사는 유전자증폭(PCR) 검사와 신속항원(RAT) 검사로 나뉘며, 비용은 각각 6만~15만원, 3만~5만원이다. 의료진이 코로나 증상으로 판단하고 환자가 검사를 희망할 경우 개인 부담으로 진행되며, 과거와 달리 생활지원비나 유급휴가비 등의 지원은 중단된 상태다.
다행히 호흡기감염병 의심환자 검체에서의 바이러스 검출률은 37주차 30.8%로 전주 39.0% 대비 8.2%포인트 감소했다. 그러나 하수 감시에서는 바이러스 농도가 소폭 상승해 지역사회 내 전파 위험은 여전한 것으로 평가된다.
방역당국은 현재 확산 양상을 고려할 때 이달까지 유행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인구 이동량 증가와 집단 모임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어 더욱 세심한 관찰이 필요한 상황이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코로나19 확산세가 가을 초입까지 지속되고 있다"며 "어르신과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실내 행사 참여를 피하고, 외출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역당국은 일상 속에서 손 씻기, 실내 환기, 기침 예절 등 기본 방역수칙을 지키고, 의료기관과 요양시설 방문객 및 근무자는 마스크 착용을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발열, 인후통,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단과 치료를 받을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 주요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자가에서 요양하며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직장이나 단체에서도 아픈 직원이 충분히 휴식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감염된 여성의 경우 혈관 노화가 약 5년 가량 가속화될 수 있다는 보고도 나왔다. 프랑스 파리시테대 연구진이 16개국 23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감염 이력이 있는 여성들의 혈관이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현저히 빠르게 노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는 치료 후에도 극심한 피로감, 가슴 통증, 두통, 불면증, 소화기 장애, 미각·후각 상실, 탈모 등 다양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식사, 적절한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 종합적인 건강관리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