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년기 플라스틱 용기 노출이 성인이 된 후에도 심장질환과 생식기능 장애, 호흡기 질환 등 각종 만성질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뉴욕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은 플라스틱 내 유해물질이 내분비계를 교란시키고 두뇌발달을 방해해 인지능력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뉴욕대 랑곤헬스 연구팀은 플라스틱 관련 최신 연구논문 수백 건을 검토해 분석한 결과를 지난 21일 국제학술지 '더 랜싯 차일드 앤드 어돌레슨트 헬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수천 명에 달하는 임신부와 태아,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각종 연구자료를 종합해 분석한 결과, 플라스틱에 함유된 독성물질이 심혈관질환, 비만, 생식장애, 호흡기질환 등 여러 만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특히 주의깊게 살펴본 것은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드는 프탈레이트, 경도를 높이는 비스페놀, 방수와 내열기능을 담당하는 과불화알킬 화합물(PFAS) 등 세 가지 화합물질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식품포장지, 미용제품, 계산서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촉하는 다양한 제품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하거나 온도를 가하거나 화학적 처리를 할 때 극미세플라스틱과 나노크기 입자가 배출되어 인체 내부로 침입한다.
플라스틱 화합물질은 전신 조직에 과민한 면역반응인 염증반응을 유발하며, 다양한 생체기능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정상적 작동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뇌성장 과정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쳐 다수 연구에서 아동기 노출이 지능지수 하락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증후군(ADHD) 같은 신경발달상 문제점과 연관성을 갖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레오나르도 트라산데 소아과 교수는 "이번 분석을 통해 플라스틱이 아동기에 발생하는 만성질환을 청소년기와 성인기로 연장시키는 핵심요소임을 입증했다"며 "자녀의 건강한 생활과 장수를 희망한다면 이러한 화합물질 노출 제한을 반드시 검토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이용을 감소시키고 인체건강을 지키는 실천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트라산데 교수는 "부모가 많은 비용 부담 없이도 자녀의 플라스틱 접촉을 제한할 수 있는 안전하고 손쉬운 방법들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플라스틱 용기를 유리나 스테인리스스틸 제품으로 교체하고, 플라스틱 제품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거나 식기세척기에서 세척하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