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금리인하 효과 속에서도 가계소비 위축 신호 확산

2025.09.21
美 연준 금리인하 효과 속에서도 가계소비 위축 신호 확산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 조치로 월스트리트가 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 전반에 걸쳐 우려스러운 조짐들이 포착되고 있다. 특히 GDP의 70%에 달하는 가계소비 부문에서 뚜렷한 감소세가 나타나고 있어 경제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플레이션과 소득 감소의 직격탄을 받은 저소득 계층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취업 시장의 냉각과 함께 팬데믹 시기 급속히 상승했던 임금 인상폭이 둔화되면서 서민층의 실질구매력이 크게 약화된 상황이다. 하위 20% 소득층의 경우 월수입의 약 40%를 주택 관련 비용으로 지불하고 있어, 다른 부문 지출여력이 현저히 제약받고 있는 실정이다.

8월 발표된 물가지수를 살펴보면 에너지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솔린 가격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3.8%, 전력요금은 6.2% 각각 급등했으며, 식품 물가 역시 전월 대비 0.6% 오름세를 기록해 2년래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여기에 트럼프 정부의 보복관세 정책으로 인해 섬유제품, 완구류, 전자제품, 가구 등 해외 제품들의 가격이 연쇄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 같은 압박 속에서 일반 소비자들은 생필품을 제외한 선택적 구매를 대폭 축소하는 방향으로 대응하고 있다. 더 심각한 경우에는 비상금을 해소하거나 대출을 늘려 생계를 유지하는 상황까지 이르고 있다. 무디스 분석에 의하면 저소득 가구의 예금 잔액이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22%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간소득층 또한 절약 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할인매장 이용 빈도를 높이는 한편, 고액 지출에 대해서는 이전보다 훨씬 신중한 접근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중산층을 겨냥한 프리미엄 상품군의 판매실적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반면 경기변동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부유층의 소비패턴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전체적인 소비 위축을 상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연간소득 25만 달러를 상회하는 상위 10% 계층이 2분기 전국 소비의 49.2%를 담당했는데, 이는 2년 전의 45.8%에서 3.5%포인트 늘어난 비중이지만 전반적 소비 둔화를 역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기업들도 이러한 시장 상황을 반영해 연내 사업계획을 보수적으로 재조정하고 있다. 펩시코와 킴벌리클라크 같은 소비재 대기업들은 관세 증가와 구매력 저하 등을 근거로 수익 전망을 하향 수정했다. 아이홉, 애플비즈, 치폴레, 스위트그린 등 외식업계 주요 브랜드들도 최근 실적보고에서 고객들의 지출 감소를 공통적으로 언급했다.

스위트그린의 조너선 네이먼 대표는 "소비자들의 구매 여건이 전체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있다는 점이 명확해 보인다"고 진단했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CEO도 고용지표 악화와 무역정책의 불확실성이 성장에 타격을 가하고 있다며 경계감을 드러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