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 챗봇 개발업체 오픈AI가 대규모 AI 기반시설 조성 사업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첫 번째 시설 운영을 개시했다고 2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텍사스주 애빌린에 위치한 이 데이터 처리 단지는 총 8개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1개 동이 본격 가동에 들어간 상태다.
이번 프로젝트는 지난 1월 오픈AI와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오라클, 일본 투자회사 소프트뱅크가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한 4년간 5000억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초대형 인프라 구축 계획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직접 발표하며 미국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애빌린 단지는 댈라스 서쪽 약 289㎞ 지점에 자리잡고 있으며, 오라클의 클라우드 인프라와 엔비디아의 최신 AI 반도체 GB200을 72개씩 탑재한 서버 장비들로 채워져 있다. 각 건물마다 약 6만개의 AI 칩이 설치되며, 전체 시설이 완전 가동될 경우 약 900메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는 현장 기자회견에서 "향후 4000억달러를 투입해 미국 곳곳에 데이터센터 5곳을 신규 조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추가 건설 예정지는 텍사스 내 다른 지역 2곳과 뉴멕시코, 오하이오, 그리고 아직 공개되지 않은 중서부 지역 각 1곳이다.
새로운 시설들이 모두 완공되면 최대 7기가와트의 전력 용량을 확보하게 되며, 이는 원자력발전소 7기에 상응하는 규모다. 이를 통해 주간 활성 이용자 수가 7억명에 달하는 챗GPT 서비스를 뒷받침할 컴퓨팅 능력을 대폭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금 조달 방안으로는 현금과 부채를 혼합한 방식을 채택할 계획이며, 전날 체결된 엔비디아와의 1000억달러 규모 전략적 투자 협약이 자금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픈AI 측은 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전역에 수만개의 직간접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그간 AI 분야의 과도한 투자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 왔으나, 엔비디아의 대규모 투자 참여와 실제 시설 가동으로 이러한 회의론이 상당 부분 불식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트먼 CEO는 "컴퓨팅 자원의 제약은 항상 존재하겠지만, 현재와 같은 어려움은 반복하지 않겠다"며 인프라 확충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