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가 자사의 첫 전기자동차 모델인 SU7에서 발생한 운전보조 시스템의 안전 문제로 인해 대규모 리콜 조치를 단행했다.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19일 샤오미자동차가 결함 자동차 제품 리콜 관리 조례에 의거해 SU7 세단 11만6887대에 대한 리콜을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리콜 대상은 2024년 2월6일부터 2025년 8월30일까지 제조된 SU7 스탠더드 버전으로, 전체 SU7 시리즈 판매량 33만9천여 대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감독관리총국은 해당 차량들이 L2 레벨 고속도로 주행보조 시스템 작동 중 극단적인 특수 상황에서 인지·경고·대응 능력이 미흡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운전자의 즉각적인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충돌 가능성이 높아져 심각한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샤오미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격 무선 업데이트 기술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선 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차량 소유자들은 샤오미 하이퍼OS 1.10 업그레이드를 통해 자동으로 시스템 보완이 이루어지며, 별도로 서비스센터를 방문할 필요는 없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회사는 웨이보를 통해 이번 소프트웨어 갱신이 주행보조 기능의 신뢰도 향상을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속도 제어 알고리즘 최적화와 고속도로 내비게이션 보조 기능의 일관성 확보가 주요 개선 사항이며, 우천이나 야간 등 복잡한 주행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속도 조절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리콜 결정은 올해 3월 안휘성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교통사고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당시 SU7 스탠더드 모델이 고속도로 자율주행 모드로 운행 중 가드레일과 충돌해 탑승객 3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 사건 이후 약 6개월이 지나서야 공식적인 리콜 조치가 이루어진 것이다.
2021년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한 샤오미는 3년의 개발 기간을 거쳐 작년 3월 SU7을 첫 출시했다. 하지만 사망사고와 과대광고 논란이 겹치면서 4월 주문량이 절반으로 급감하는 등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6월 두 번째 모델인 전기 SUV YU7을 선보이며 시장 확대를 지속하고 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이 사고를 계기로 자율주행 기술의 안전 기준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 공업정보화부는 지능형 커넥티드카 운전보조시스템 안전 요구 국가표준 초안을 마련해 17일부터 공개 의견수렴을 시작했다. 초안에서는 L2급 시스템이 완전한 자율주행이 아닌 보조 시스템임을 명확히 하고, 운전자가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샤오미 전기차의 두 번째 리콜로, 지난 1월에도 소프트웨어 동기화 오류와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 이상으로 3만여 대를 리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