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프가니스탄 북부 쿤두즈주 출신의 13세 청소년이 수도 카불국제공항에 침입하여 항공기 착륙장치 내부에 은신한 채 인도 델리까지 무사히 도착했다고 현지 언론들이 23일 전했다.
이 청소년은 지난 21일 오전 공항 제한구역에 몰래 잠입해 아프간 캄에어 항공사의 델리행 RQ-4401편 착륙장치 격납고에 몸을 맡겼다. 해당 항공편은 약 2시간의 비행을 거쳐 델리 인디라간디국제공항에 무사히 착륙했다.
착륙 후 청소년은 격납고에서 나와 항공기 주변을 배회하던 중 오전 11시 10분경 공항 관계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당국의 조사에서 그는 "단순한 호기심 때문에 벌인 행동"이라고 해명했다.
캄에어 보안요원들이 기체를 정밀 검사한 결과, 착륙장치 부분에서 청소년 소유로 보이는 적색 소형 오디오 스피커가 발견되어 회수되었다. 항공기 자체의 안전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이례적인 생존 사례에 놀라움을 표했다. 한 누리꾼은 "착륙 시 격납고가 개방되면서 밖으로 떨어질 수 있었는데 살아남은 것이 놀랍다"고 언급했다. 또 다른 이용자는 "영하 20도의 혹독한 추위와 강풍을 어떻게 버텨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경이로움을 나타냈다.
일부에서는 아프가니스탄의 열악한 현실을 지적하며 "여성과 아동에게 지옥과 같은 상황임을 모두 알고 있으면서도 이 청소년에게 보호를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지 않았다"며 아쉬워하기도 했다.
항공기 착륙장치 격납고는 극도로 위험한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 비행 중 내부 온도가 영하 20도에서 영하 50도까지 떨어지며, 산소 농도 역시 현저히 낮아 호흡곤란과 의식잃음, 심한 경우 생명을 잃을 위험이 크다. 미국 연방항공청 통계에 따르면 1974년부터 2021년까지 민간항공기 착륙장치에 은신해 이동을 시도한 132명 중 사망률이 77%에 달한다고 밝혔다.
과거에도 이와 유사한 사례들이 종종 발생해왔다. 2014년에는 15세 야히아 압디가 캘리포니아에서 하와이까지 5시간 넘게 항공기 착륙장치에 매달려 비행한 후 생존한 바 있다. 반면 지난해 12월 하와이 도착 항공편에서는 격납고 내에서 시신이 발견되기도 했다.
조사가 완료된 후 이 청소년은 당일 오후 12시 30분 동일한 항공편을 통해 고국 카불로 송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