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김정은 '비핵화 포기' 조건부 북미대화 제안에 "지원 의지" 밝혀

2025.09.22
정부, 김정은 비핵화 포기 조건부 북미대화 제안에 "지원 의지" 밝혀

대통령실은 2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무기 포기 없이도 미국과 대화할 수 있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에 대해 "북미 간 대화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전해진 김 위원장의 연설 내용과 관련해 "장기적 시각을 갖고 긴장 해소와 상호 신뢰 구축을 통해 남북 관계의 적대 상황을 종식시키고 평화로운 관계 발전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미 간 대화 촉진 등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며 "우리 정부는 북측 체제에 대한 존중 의사와 함께 흡수 방식의 통일을 추진하지 않으며 적대적 행동을 취하지 않겠다는 뜻을 이미 천명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김 위원장은 21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개인적으로 좋은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며 비핵화 요구를 철회할 경우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명확히 말하건대 우리에게 '비핵화'는 절대 불가능하다"며 "제재 해제를 목적으로 상대국들과 무언가를 교환하는 식의 협상은 앞으로도 영구히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이날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활동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일본과 전 세계의 평화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야시 장관은 "한국, 미국 등 국제사회와 공조해 유엔 안보리 결의안의 철저한 실행과 북한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의 전면 해체를 계속 요구할 것"이라며 "미국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한 이재명 대통령이 제시한 '중단-축소-비핵화 3단계 방안'을 두고 "이전 정권들의 과제를 그대로 복제해온 모사품"이라고 폄하하며 "외부 세력에 정치와 안보를 의존하는 국가와는 통일 의사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