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안정목표제를 정치적 외압을 차단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평가하며, 비은행 금융기관 확산을 근거로 기준금리를 중립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현지시간 18일 워싱턴DC IMF 본부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대담을 갖고, 연방준비제도의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를 언급하며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그는 "물가안정목표제 덕분에 정치권에서 특정한 조치를 요구해도 '그것은 제 역할이 아닙니다'라고 응답할 수 있어 중앙은행이 장기적 시각을 견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 2% 물가상승률 목표를 운영하는 한국은행의 이러한 체계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저금리를 선호하는 정치권의 개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취지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금리 인하 압박을 받는 연준 상황을 고려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 총재는 파월 의장의 전날 발언을 거론하며 "한국 인플레이션이 2% 수준을 보이는 것이 매우 만족스럽다"며 "총재로서 주어진 사명을 완수한 것"이라고 자평했다. 연준은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 목표치를 동일하게 2%로 설정했으나 현재 3% 내외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비은행 금융부문의 급속한 성장에 대한 우려도 표명했다. 이 총재는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이 급성장해 국내 금융시장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게 됐으나 상대적으로 느슨한 규제를 받고 있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견고한 금융시스템을 갖춘 대형 경제권과 달리 한국에서는 금융안정성이 핵심 과제라는 점을 강조하며, 중립금리 결정 시 금융안정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논의에 대해서는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이 총재는 "한국이 완전한 자본자유화를 시행하지 않는 상황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허용하면 국민들의 해외 원화예금 보유가 가능해져 사실상의 자본자유화와 동일한 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이 총재를 "열정적인 골퍼"로 소개하며 통화정책을 골프에 비유해 "적절한 클럽 선택이 성공의 열쇠"라고 언급했고, 이 총재는 "IMF에서의 경험이 다양한 정책 도구를 활용할 수 있게 해줬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