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은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을 맞은 19일 SNS를 통해 "9·19 합의 정신 복원을 통해, 대화와 협력으로 한반도에 지속적인 평화를 만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이 대통령은 "7년 전 오늘, 남북이 평양에서 한반도 평화와 공동 발전을 위해 걸어가기로 다짐하며 군사 협정을 체결했다"며 "협정 이행으로 양측 갈등이 완화되며 한반도에 평화 분위기가 조성됐었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근년에 남북 갈등이 심화되면서 협정은 실질적으로 무력화됐고, 상호 신뢰가 심각하게 손상되었을 뿐 아니라 대화 채널조차 차단된 상황"이라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평화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평화야말로 민주주의와 경제 성장의 핵심 기반"이라고 밝힌 이 대통령은 "평화 체제가 무너지면 민주 질서 유지와 발전은 물론 민생과 경제 회생도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된다"며 "취임 이후 대북 방송 중지, 대북 전단 배포 중지 등의 조치를 단행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8·15 광복절 축사에서 제시한 대북 3대 원칙을 재차 천명하며 "북한 체제에 대한 존중, 흡수 통일 배제, 모든 적대적 행위 금지라는 나의 공약은 계속 유지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 차례 균열된 신뢰 관계가 단숨에 복원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신뢰란 언어가 아닌 행동과 실행에서 만들어지는 것이기에, 복잡하게 얽힌 실 뭉치를 차분히 풀어내듯 끈기를 가지고 접근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끝으로 "앞으로는 접경 지역 거주민들이 불안한 밤을 보내지 않게 하고, 우리 경제가 군사적 충돌의 위험 부담을 지지 않게 하며, 분단 상황을 이용하는 집단으로부터 민주주의가 침해받지 않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