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국정운영 지지도 59%…이전 조사대비 3%포인트 감소

2025.09.18
李대통령 국정운영 지지도 59%…이전 조사대비 3%포인트 감소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59%를 기록했다. 이는 직전 조사와 비교해 3%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반면 부정적 평가는 31%로 같은 기간 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분석에서는 40대와 50대 층에서 70%를 웃도는 높은 긍정평가를 보인 반면, 20대(39%)와 70세 이상(46%)에서는 과반에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권에서 91%의 압도적 지지를 받은 반면,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42%에 그쳐 지역 간 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정당별 선호도 조사에서는 민주당이 41%로 직전 대비 2%포인트 하락했으며, 국민의힘은 22%로 2%포인트 증가했다. 개혁신당은 3%, 조국혁신당은 2%를 기록했으며, 진보당이 1%로 뒤를 이었다. 성비위 논란으로 조국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를 출범한 조국혁신당의 경우 이전 조사보다 3%포인트 급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취임 100일에 대한 별도 평가에서는 응답자의 63%가 "기대 수준보다 잘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기대에 못 미친다"는 응답은 31%에 머물렀다. 이는 일반적인 국정운영 평가보다 다소 높은 긍정적 평가로 해석된다.

22대 국회에 대한 평가에서 민주당의 집권당 역할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53%로 나타났다. 반면 국민의힘의 제1야당 역할에 대해서는 22%만이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70%는 부정적 견해를 표명했다.

주요 현안에 대한 국민 여론도 함께 조사됐다.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공장 건설현장 한국인 대량 구금 사태의 정부 대응에 대해서는 51%가 적절했다고 평가한 반면, 35%는 미흡했다고 답했다.

검찰 조직개편안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이 46%로 반대 의견 39%를 앞섰다. 3대 특검의 수사 범위와 기간을 확대한 이른바 '강화된 특검법'에 대해서는 56%가 바람직하다고 답했으며, 부정적 평가는 30%를 기록했다.

정부의 9·7 부동산 정책에 대한 전망은 팽팽하게 엇갈렸다. 시장 안정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낙관론과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는 비관론이 각각 43%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 100% 활용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응답률은 15.5%였다. 구체적인 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