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18일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사이버 침해 사건들에 대해 전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대응방안 수립을 촉구했다.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관하며 "핵심 통신업체와 금융회사들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으로 시민들의 손실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대통령은 "해당 기업들에 대한 책임 추궁도 중요하지만, 점점 고도화되는 사이버 범죄 위협에 맞서기 위해서는 정부 전체가 나서는 체계적인 보안 전략을 급하게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안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디지털 혁신이나 AI 선도국가 비전 모두 모래성에 지나지 않는다"며 "침해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근본적인 통합대책을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지시는 통신업체와 카드회사 등 주요 인프라 기업들에서 발생한 연쇄적인 보안 사고에 따른 것이다. 롯데카드의 경우 외부 침입으로 297만 고객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심각한 사태가 벌어졌으며, 조좌진 대표이사가 같은 날 공개적으로 사과하기도 했다.
KT에서도 이용자들의 휴대폰을 노린 침해를 통해 무단으로 소액결제가 이뤄지는 피해가 속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민관 공동조사 결과에 따르면 KT 관련 피해는 총 199건에 달하며 손실액만 1억2천600만원에 이른다고 밝혀졌다.
대통령은 지난 11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도 유사한 보안 대책 마련을 요구한 바 있다. 당시 "소를 잃은 것도 문제이지만 소를 잃고도 외양간을 고치지 않는 것은 더욱 심각한 문제"라며 "기업들이 보안 투자를 불필요한 지출로 여기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19일 개최 예정인 여야 민생경제협의체 첫 회의와 관련해 "여당과 야당이 국민과 국가를 위해 더 많은 지혜를 결집하고 더욱 폭넓게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