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대기업 회장들께 청년 채용 간곡히 요청"…2030세대 포용 정책 강화

2025.09.20
李대통령 "대기업 회장들께 청년 채용 간곡히 요청"…2030세대 포용 정책 강화

이재명 대통령이 19일 청년층의 현실적 어려움 해결을 위해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2030세대 포용' 드라이브에 본격 착수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마포구 구름아래소극장에서 개최된 '2030 청년 소통·공감 토크콘서트'에 참석해 150여 명의 청년들과 고용, 주거, 결혼, 자녀양육 등 핵심 현안들에 관해 직접 대화를 나눴다. 행사 시작부터 "우리 가정에도 여러분과 유사한 상황의 젊은이들이 있어 고충을 잘 안다"며 공감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현장에서 접수한 다양한 제안사항들을 즉시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약속하며, 동석한 관계부처 장관들에게 구체적 검토를 지시하거나 참석자들의 의견을 직접 확인하는 능동적 자세를 보였다. 특히 "제가 살아온 시절과 대비해보면 현재 청년들은 훨씬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다"며 "청년세대 전체가 피해를 당하는 계층이라고 생각한다"고 현실 인식을 밝혔다.

고용 확대 요구에 대해서는 "적절한 방식은 아니지만 대기업 최고경영진들에게 '젊은 인재들 채용 확대를 부탁드린다'고 간곡히 요청했고 다행스럽게 호응해주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기업의 지속적 참여를 위해서는 손실 부담이 없어야 한다. 신입사원 교육훈련에 따른 세제 지원, 재정 혜택 등으로 기업 부담을 덜어주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일자리 창출 요청에는 "친환경 에너지 사회로의 대전환을 가속화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취업 기회를 비롯한 막대한 가능성이 열린다"고 화답했다. 다만 "전환 과정의 일시적 고통을 정치적 목적으로 과장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지적하면서도 "단기간 일부 국민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이 정책을 추진한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며 현장 의견을 물었다.

복지 및 주거정책에 대한 '포퓰리즘' 비판 논란에 대해서도 추진 의지를 재확인했다. 다자녀·신혼부부·지방 청년 지원 강화 건의에 "현행 정부 정책이 너무 복잡해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라며 "육아 지원만 해도 출산 장려금, 아동수당 등이 분산돼 행정비용이 과다하다. 이를 일원화해 현금 지원을 늘리는 방안이 어떤가"라고 제시했다.

공공주택 임대 확대 필요성에도 적극 동의했다. "정부가 분양 대신 임대를 늘리면 재정 부담 증가 비판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분양은 투기 수단이 되지만 경제력이 생길 때까지 임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분양과 임대 중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서 임대 지지가 더 많자 "정책 방향 전환이 가능해 보인다. 과거 '임대는 포퓰리즘'이란 시각도 있었지만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언급했다.

백악관식 청년 인턴십 프로그램 도입 제안에 대해서는 김용범 정책실장에게 "각 부처와 공공기관, 민간기업에는 권고하면서 대통령실만 시행하지 않고 있다. 실현 가능한 범위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하라"고 현장에서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여러분이 제시한 의견들과 현실의 문제점들을 면밀히 검토해 정책을 수립하고, 현재보다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