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교 '조희대 회동설' 제보 출처 혼선에 與지도부도 발빼기

2025.09.20
서영교 조희대 회동설 제보 출처 혼선에 與지도부도 발빼기

더불어민주당이 제기한 조희대 대법원장의 회동 의혹이 진위 논란으로 치닫고 있다. 최초 의혹을 거론한 서영교 의원의 제보 출처 설명이 계속 달라지면서 당내에서도 해명 압박에 나선 상황이다.

서 의원이 5월 14일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공개한 녹취록은 조 대법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후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과 4인 점심회동을 갖고 '이재명 사건이 대법원에 올라오면 알아서 처리하겠다'고 발언했다는 내용이었다. 해당 녹취는 친여 성향 유튜브 채널 열린공감TV에서 먼저 방송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서 의원의 설명은 일관성을 잃었다. 처음에는 제보 출처를 "보수 정권 민정"이라고 밝혔다가, 이후 "유튜브에 물어보라"고 했으며, 나중에는 "여권 고위직 관계자"라고 언급했다. 실제로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제보 - 조 대법원장과 윤 전 대통령 간 직접 대화 내용과 4인 회동에서의 발언 - 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혼재해서 설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녹취 파일의 출처도 결국 열린공감TV였음이 드러났다. 당시 해당 방송 출연진이었던 최혁진 무소속 의원이 서 의원에게 녹취 내용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 의원은 마치 독립적인 제보를 받은 것처럼 설명했지만, 실상은 유튜브 방송 내용을 그대로 활용한 셈이다.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19일 라디오 출연에서 "최초에 거론한 분들이 해명해야 할 것 같다"며 책임을 해당 의원들에게 돌렸다. 한준호 최고위원도 "주장의 근거를 명확하게 확인하는 게 필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진실공방으로 흐르는 것에 크게 대응할 생각 없다"고 밝혀 당 차원의 추가 개입을 자제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당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민주당 의원은 "최소한의 검증 과정은 거쳐야 한다"며 "유튜버들의 주장을 공론의 장에 그대로 옮기는 건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는 "겉으로는 가짜뉴스 엄정 대응을 외치면서 정작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정보를 일단 던지고 본다"며 내로남불을 꼬집었다.

국민의힘은 즉각 반격에 나섰다. 장동혁 대표는 "독재의 시작은 사법부 장악"이라며 "좌파의 추악한 공작정치를 뿌리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검증되지 않은 제보를 마치 중대한 범죄처럼 호도하고 있다"며 해당 의원들을 민주당이 추진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제1호 적용 대상"이라고 비판했다.

야당은 서영교·부승찬 의원과 정청래 대표 등을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고발하고 국정조사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김은혜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두 의원을 "지라시 하청남매"라고 표현하며 강하게 비난했다.

조 대법원장과 한 전 총리, 정상명 전 검찰총장 등 회동 당사자로 지목된 인물들은 모두 해당 사실을 부인했다. 열린공감TV 측도 "애매한 제보 내용"이라며 "확인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녹취 일부가 AI로 제작됐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신빙성 논란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