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연이어 터진 KT와 롯데카드 대규모 해킹 사고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응에 나선다. 국무총리실은 21일 김 총리가 오는 22일 오전 10시 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신·금융권 해킹 사건 관련 긴급 대응 회의'를 주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회의에는 금융위원회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비롯한 관계 부처들이 참석해 피해 현황과 조치 경과를 종합 보고할 예정이다. 김 총리는 사이버 공격이 발생한 배경을 면밀히 검토하고 복구 계획을 수립하는 동시에 해당 기업들의 초기 대응이 적절했는지도 살펴볼 방침이다.
KT의 경우 위법 소형 기지국을 악용한 불법 소액 결제로 인해 지금까지 362명의 가입자가 피해를 당한 상황이다. 여기에 서버 장악과 이용자 식별정보(IMSI) 탈취까지 드러나면서 추가 피해자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편 롯데카드는 사이버 침입으로 297만명에 달하는 고객 데이터 약 200GB가 외부로 빠져나갔다고 밝혔다. 특히 이중 28만명의 경우 주민번호와 카드정보, 보안코드(CVC) 등 핵심 개인정보까지 노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부터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순방길에 오르는 상황에서 김 총리가 국내 사이버 보안 위기 상황을 직접 챙기게 된 것이다. 앞서 이 대통령도 지난 18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핵심 통신업체와 금융기관을 노린 사이버 공격으로 국민 손실이 지속 확산되고 있다"며 "피해 최소화를 위한 종합적인 근본 대책을 수립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또 "해킹 범죄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기업 책임 추궁도 필요하지만, 점점 교묘해지는 사이버 범죄에 맞서 정부 전체 차원의 체계적 보완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며 "보안 체계 없이는 디지털 혁신도, AI 선도국가도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와 정부 당국에 따르면, 지난 몇 년간 고도화된 수법을 동원한 사이버 침해 사건이 전 분야에 걸쳐 빈발하면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 발전과 함께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정교한 해킹 도구를 저비용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보안 업계에서는 더욱 정밀하고 포괄적인 방어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