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9일 당 내 일부 의원들이 제기한 조희대 대법원장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간 부적절한 만남 추측에 대해 "최초로 언급하신 분께서 해명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일 것"이라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SBS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해당 추측의 진위 확인 여부를 묻는 질문에 "현재 조 대법원장을 포함한 관련자들이 모두 부인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최초 발언자가 그 토대나 경위, 주변 정황 등에 대해 설명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논란은 지난 5월 서영교 의원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관련 정보를 받았다고 언급하면서 시작됐다. 같은 달 유튜브 채널 '열린공감TV'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조 대법원장과 한 전 총리 등이 회동을 가졌으며, 이 자리에서 "이재명 사건이 대법원에 올라오면 처리하겠다"는 발언이 있었다는 음성을 공개했다. 하지만 해당 매체는 이 음성이 AI로 제작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원내대표는 당 일각에서 나오는 특검 수사 요구에 대해 "먼저 해명을 청취한 후 수사가 필요하다면 사법부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정치 영역에서는 의혹 제기가 가능하지만, 그에 대한 근거나 상황 설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조 대법원장의 지난 대선 직전 이재명 대통령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 결정에 대해 "선거 한 달을 앞둔 시점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판결이었다"며 "사법부의 정치 개입이 현 상황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삼권분립 훼손 논란에는 "우리가 사법부를 침범하려는 것이 아니라 정치 영역에 개입한 사법부를 제자리로 되돌리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당에서 추진 중인 내란전담재판부 설치에 대해서는 "사법부 공격이 아닌 내란 재판의 공정하고 신속한 진행을 위한 방어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그는 위헌 논란에 대해서는 "법안은 조정 가능한 것"이라며 수정 여지를 남겼다.
김 원내대표는 여야 협력 관계에 대해 "내란 관련 사안은 타협 불가능하지만, 민생 문제는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원내대표 역할에 대해서는 "어머니와 같은 역할"이라며 "대외적으로는 강경하지만 당 내부에서는 조율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