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지 총무비서관 증인 채택" 둘러싸고 여야 격렬한 대립**

2025.09.24
**"김현지 총무비서관 증인 채택" 둘러싸고 여야 격렬한 대립**

여야가 24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현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의 국감 증인 출석을 두고 격한 공방을 벌였다.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측근으로 알려진 김 비서관이 증인 명단에서 제외되자 국민의힘은 "절대 부를 수 없는 특별한 존재인가"라며 강하게 반발했고, 더불어민주당은 "허니문 기간에 갈등의 소재로 활용하려는 의도"라고 맞받았다.

이날 운영위에서 논의된 대통령실 국감 증인 명단 11명에는 강훈식 비서실장과 김용범 정책실장 등이 포함됐지만, 김 총무비서관은 빠져 있었다. 야당 간사 유상범 의원은 "14대 국회 이후 총무비서관이 증인에서 빠진 사례가 없다"며 "인사와 예산을 담당하는 핵심 보직이기에 언제나 참석해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대통령의 최고 측근으로 평가받는 인물을 국회에 보내지 않으려는 것은 감추려는 것이 있다는 의혹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여당 간사 문진석 의원은 "일반적으로 정권 출범 6개월은 협력적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 전례였다"며 "김 비서관을 증인으로 부르는 것보다 비서실장에게 질의하는 것으로도 국감 진행에는 문제가 없다"고 응답했다. 그러면서 "갈등 조성을 위한 국민의힘의 기도에는 동참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도 "1987년 체제 이후 역대 정부의 총무비서관들이 모두 국감에 참석했다"며 "행정·인사·재정을 관장하는 책임자가 출석해야 올바른 국정감사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박상혁 민주당 의원은 "비서실 최고책임자인 강 비서실장이 각종 사안에 대해 충분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공방 과정에서 여야는 서로를 향해 "제대로 된 정당이 아니다"라는 거센 비판까지 주고받았다. 분위기가 악화되자 김병기 운영위원장은 "오늘은 표결 없이 간사들이 추가 조율을 진행하라"며 관련 안건 처리를 연기했다.

김현지 비서관은 이 대통령이 성남에서 시민운동을 하던 시절부터 동행해온 인물로 '성남라인'의 핵심으로 불린다. 총무비서관직은 대통령실 살림과 운영 전반을 책임지는 요직으로, 대통령의 절대적 신뢰를 받는 인사가 담당해왔다.

한편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SNS를 통해 "민주당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은 함부로 부르면서 총무비서관은 출석을 막고 있다"며 "정청래 대표 방식으로 말하면 김현지 씨는 '무엇' 되는가"라고 비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