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가 인공지능이 별도 가공 없이 즉시 학습하고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AI-Ready' 표준을 공공데이터 분야에 사상 처음 적용한다고 18일 발표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OECD 공공정보 평가에서 4년 연속 최고 순위를 차지하며 양적 성과를 인정받아왔다. 하지만 인공지능 혁신이 본격화되면서 기계학습에 최적화된 질적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어왔다.
현재 공공정보는 인공지능이 즉시 해석하기 어려운 형태로 제공되거나 업데이트 주기, 통계 요약 등 핵심 속성 정보가 부족해 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각 기관마다 위치 정보나 행정 식별번호 표기법이 상이해 데이터 통합이 곤란하거나, 누락·오류 등으로 품질이 낮아 이용자들이 별도 정제 작업에 상당한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 빈발했다.
새롭게 제시된 'AI-Ready 공공정보'는 인공지능 기술이 학습·분석·추론 과정에서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전처리된 형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계가 직접 읽고 해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되며, 충분한 속성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포함해야 한다.
또한 주소나 행정코드 등 핵심 식별 요소에 통일된 표준을 적용하고, 인공지능 서비스의 정밀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한 품질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재난 대응 앱 개발 등에서 기상정보, 재난 알림, 교통 상황 등 서로 다른 데이터를 융합할 때 발생하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행안부는 전문가 중심 실무 그룹을 구성해 세부 기준을 확정하고, 관리 방안을 담은 종합 지침을 연내 완성해 배포할 예정이다. 공공데이터포털에 공개된 정보의 'AI-Ready' 적합성을 평가한 뒤 활용도가 높은 영역부터 우선 적용하고, 향후 전체 공공기관으로 단계적 확산을 추진한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데이터는 인공지능 경쟁력의 근간"이라며 "기계학습에 최적화된 고품질 공공정보를 대폭 확대 공개해 혁신적 서비스 개발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