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장관 "'탈북민' 어감 부정적, '북향민' 명칭 변경 추진"

2025.09.16
정동영 장관 "탈북민 어감 부정적, 북향민 명칭 변경 추진"

정부가 북한에서 남한으로 온 주민들을 가리키는 '북한이탈주민'이나 '탈북민'이라는 용어를 '북향민' 등의 새로운 명칭으로 교체하는 방안을 본격 검토하고 있다. 통일부는 이미 관련 연구용역에 착수해 11월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5일 경기권 통일플러스센터 개관식에서 현재 사용되는 용어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명칭 변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장관은 "북한에서 온 주민들이 가장 싫어하는 글자가 '탈(脫)'자"라며 "탈북이라는 표현 자체의 어감이 좋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북 지역에 고향을 둔 분들이라는 의미로 '북향민'이라는 명칭이 현재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지난달 북한이탈주민학회와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하고 기존 용어의 변경 필요성과 대안 명칭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법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과 일상적 표현인 '탈북민'을 모두 바꿀 것인지, 아니면 공식 용어는 유지하고 일반 호칭만 변경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

북한에서 온 주민들 사이에서는 기존 명칭에 대한 거부감이 지속적으로 표출돼 왔다. 작년 통일연구원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8.9%가 법정 용어 개정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 용어로는 '하나민', '통일민', '북향민' 등이 고른 선호도를 보였으며, 윤석열 정부 시절 국민통합위원회에서는 '북배경주민'과 '탈북국민'이라는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용어 변경이 결정될 경우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법적 명칭도 함께 바뀔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사회 전반에 광범위하게 정착된 '탈북민'이라는 표현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새터민'이라는 용어가 도입됐지만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사장된 사례도 있어, 새로운 명칭의 사회적 수용성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한편 북한에서 온 주민들의 정착 지원을 위한 민간 차원의 협력도 확대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16일 통일부 산하 남북하나재단과 업무협약을 맺고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학습 및 정보화 능력 향상, 1인 여성 가구 안전을 위한 홈CCTV 설치, 스마트폰 사용법 교육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