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노안으로 인해 돋보기에 의존하는 시대가 끝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별히 제조된 안약만으로도 노안 증상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다는 획기적인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소재 노안첨단연구소 연구진은 지난 8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제34회 유럽백내장굴절수술학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혁신적인 안약은 두 가지 핵심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성분인 필로카르핀은 동공 크기를 줄이고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을 수축시켜 근거리 물체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여기에 항염증제인 디클로페낙을 추가해 필로카르핀 사용시 나타날 수 있는 염증 반응과 불편감을 최소화했다.
임상실험에는 평균 연령 55세의 노안 환자 766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세 개 집단으로 구분되어 각각 필로카르핀 농도가 1%, 2%, 3%로 다른 안약을 투여받았다. 모든 참가자는 기상 직후와 6시간 경과 후 하루 두 차례 안약을 사용했으며, 필요시 추가 투여도 허용됐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1% 농도 안약을 사용한 148명 중 99%가 예거 시력검사표에서 2단계 이상의 개선을 보였다. 2% 농도를 사용한 248명의 69%와 3% 농도를 사용한 370명의 84%는 3단계 이상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투약 후 단 1시간 만에 이러한 효과가 확인됐으며, 전체 참가자의 83%가 안경 없이도 근거리 작업이 가능한 수준까지 시력이 회복됐다.
더욱 주목할 점은 이러한 치료 효과의 지속성이다. 시력 개선은 평균 434일간 유지됐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최장 2년까지 효과가 계속됐다.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일부에서 일시적인 시야 흐림(32%), 점안시 자극감(3.7%), 두통(3.8%) 등의 경미한 부작용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로 인해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한 명도 없었다.
연구진은 노안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농도 선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증 노안 환자들은 1% 농도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보인 반면, 중등도 이상의 노안 환자들은 2% 또는 3% 농도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얻었다.
조반나 베노치 연구소장은 "기존의 안경 착용이나 외과적 시술은 환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위험요소가 따를 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는 비침습적이고 편리하면서도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강력한 임상 근거를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표준 치료법으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더 광범위하고 장기간의 안전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구팀 역시 안약의 작용 메커니즘을 더 자세히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