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들을 대상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해결을 위해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전면 차단하고 강력한 경제제재에 동참할 것을 요구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게재한 '전 세계 NATO 회원국에 보내는 공개서한'을 통해 "모든 NATO 국가들이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에 합의하고 실행에 나서며,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완전히 차단할 경우 미국도 러시아를 겨냥한 대규모 제재 조치를 실시할 준비를 마쳤다"고 선언했다.
그는 "NATO의 승전에 대한 의지는 완전하지 못하며, 몇몇 회원국들의 지속적인 러시아산 석유 매입은 매우 놀라운 일"이라며 "이러한 행위는 러시아와의 협상에서 우리의 지위와 교섭력을 심각하게 손상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NATO 전체가 중국을 대상으로 50~100%의 고율 무역관세를 적용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이 종료된 후 이를 완전히 해제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러시아에 대해 상당한 지배력과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이러한 강도 높은 관세 조치가 그 영향력을 차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분쟁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는 트럼프의 분쟁이 아니며, 내가 재임 중이었다면 결코 발생하지 않았을 사건"이라며 "이는 바이든과 젤렌스키의 분쟁"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나는 단지 이 분쟁을 중단시키고 수많은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개입하고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같은 날 엑스(X)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을 즉시 환영한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모든 동맹국들이 제재 회피를 위한 핑계 만들기를 중단해야 한다"며 "이는 유럽, 미국, G7, G20 모두에게 적용되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산 석유 소비량을 줄여야 하며, 이는 확실히 러시아의 군사력을 약화시킬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의 입장을 청취했고, 여전히 러시아로부터 석유 공급을 택하는 모든 국가들이 이를 경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제재는 전쟁에서 평화로 이어지는 과정의 핵심 요소"라며 "푸틴이 평화를 거부한다면 그에게 평화를 강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워싱턴과 유럽의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이 실질적인 대러 제재 회피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NATO 회원국들이 중국에 50~1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라는 요구는 현실적으로 실행하기 어려운 조건을 내세워 미국의 제재 의무를 피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