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진행 중인 대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미국의 요구사항을 모두 수락했다면 탄핵을 면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18일 공개된 타임지 인터뷰에서 전해졌다.
지난 3일 실시된 이번 인터뷰에서 이 대통령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 펀드 조성을 둘러싼 협상 과정에서 "미국 측에 현실적인 대안책 마련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양국 간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조건으로 투자 자금의 상당 부분을 현금 직접투자 형태로 구성하고, 수익 분배 구조도 일본과 비슷한 조건으로 맞출 것을 압박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인물평에 대해서는 "겉보기와 달리 결과 중심적이고 실용적인 성격"이라며 "자신이 패배자로 비춰지는 상황을 원치 않기 때문에 비이성적 결정은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일반적인 경로를 걷지 않은 삶이라는 면에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도 언급했다.
지난달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제기한 주한미군 기지 부지 소유권 주장에 대해서는 "농담으로 받아들인다"며 "현재도 미국은 무상으로 기지를 사용 중이고, 만약 실제 소유하게 되면 재산세 부담이 발생할 텐데 이는 면제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북핵 문제 해결 시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추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이 분야에서 실질적 성과가 나온다면 그 영예를 받을 만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뿐일 것"이라고 답했다. 비핵화 과정으로는 '중단-축소-완전 비핵화'의 단계별 접근법을 제시하며 "트럼프 대통령도 동일한 관점을 가질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한중관계 관리 방향에 대해서는 "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 원칙은 한미동맹이 토대"라면서도 "지정학적 위치와 역사적 유대, 경제적 상호의존성, 인적 교류 등을 감안할 때 중국과의 관계 단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중국을 적대시하지 않는 선에서 관계를 조율하지 않으면 한국이 양 진영 대립의 최전선에 놓일 위험성이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최근 논란이 된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에 대한 특별사면 결정에 대해서는 "불가피한 판단"이라며 "논란이 일 것을 예상했지만 필요한 조치였다"고 해명했다. 현재 국내 정치 상황에 대해서는 "대립과 갈등이 일상화되어 제가 호흡하는 것조차 비난받는 현실"이라며 "이런 정치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저의 사명"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