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인공지능(AI) 세계 3대 강국 진입을 위해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목표를 기존 5만장에서 20만장으로 대폭 상향조정하겠다고 밝혔다. 단순한 순위 경쟁이 아닌 미국·중국과 맞먹는 실질적 기술 역량 확보가 목표라고 강조했다.
배 장관은 지난 12일 서울 종로구에서 취임 50일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3위라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며 "미국과 중국이 시장의 90~95%를 점유하고 우리가 나머지 5~10%를 차지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미·중에 근접한 수준의 기술과 서비스 역량을 보유해야 한다"며 "2030년까지 미국과의 AI 기술 차이를 현재 1.3년에서 0.5년 수준으로 줄이겠다"고 덧붙였다.
기존 2030년까지 GPU 5만장 확보 계획은 2028년으로 앞당기고, 최종 목표를 20만장으로 설정했다고 발표했다. 배 장관은 "학계와 중소기업 수요가 2030년 기준 14만~15만장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가 30% 정도를 마중물로 지원하겠다"며 "AI 기술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기존 계획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도 가속화한다. 현재 5개 컨소시엄이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통해 연말 세계 10위 권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을 공개할 예정이다. 배 장관은 "파운데이션 모델을 오픈소스로 제공해 미국의 라마나 중국의 큐웬 대신 한국 AI를 선택하게 만들겠다"며 "국내용이 아닌 글로벌 이용자들도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모델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피지컬 AI 분야를 한국의 새로운 돌파구로 제시했다. 배 장관은 "미국이 중국을 경계하는 이유가 바로 피지컬 AI"라며 "제조업 기반이 강한 중국이 다크팩토리 등을 통해 막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제조업 강점과 소프트웨어 유연성을 갖춘 한국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있다"며 "제조·의료·방산·K콘텐츠 분야에서 AI 전환을 통해 피지컬 AI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기존 AI 대학원을 확대하고 내년 AX(AI 전환) 대학원을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배 장관은 "2030년까지 AI 핵심 인재 3000명, AX 융합 인재 5000명을 양성할 계획"이라며 "도메인을 이해하고 AI로 문제를 풀 수 있는 현장 투입형 인재가 기업들이 원하는 인력"이라고 강조했다.
AI 기본법 시행과 관련해서는 기업 부담을 최소화하겠다고 약속했다. 배 장관은 "과태료 부과를 최소 1년 이상 유예하고 상황에 따라 연장할 수 있다"며 "산업 진흥이 핵심이므로 기업들이 제약 없이 혁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AI와의 융합을 통한 혁신을 추진한다. 배 장관은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연구소장급 역량을 가진 동료"라며 "특히 AI 바이오 분야에서 노벨상급 성과가 가능하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알츠하이머 연구 등에 AI를 적용해 기존에 풀 수 없었던 난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부총리급 승격에 맞춰 '과학기술인공지능 장관회의'를 신설해 범부처 AI 정책을 총괄하겠다고도 밝혔다. 배 장관은 "내년 AI 예산이 10조원을 넘는 상황에서 부처 간 중복을 없애고 효율성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각 부처의 AI 프로젝트를 플랫폼화해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조율하겠다"고 설명했다.
최근 연이은 통신사 해킹 사고에 대해서는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다짐했다. 배 장관은 "AI 기술 발전으로 해킹 기법도 고도화되고 있다"며 "류제명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정보보호 체계 대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업 신고 이후에야 정부가 조사에 나서는 현행 체계를 개선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법령 정비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