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주택담보대출 규제 시행 이후 전국 아파트 매매 시장에서는 거래량이 반토막 수준으로 급락했지만, 서울 지역은 여전히 가격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부 매매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전국 매매량은 6월 5만3220건에서 8월 3만841건으로 두 달 새 42% 가까이 감소했다. 수도권의 경우 6월 3만1132건에서 8월 1만2982건으로 58% 이상 급감하며 거래 절벽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매매량 위축과 함께 전국 평균 가격 변동률도 6월 0.94%에서 8월 0.67%로 둔화됐고, 수도권은 1.17%에서 0.57%까지 변동 폭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서울의 경우 매매 건수가 급격히 줄어든 상황에서도 1% 수준의 상승률을 꾸준히 유지하며 수도권 안에서 독보적인 강세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울은 7월과 8월 각각 전체 매매의 56%, 53%가 이전 거래 대비 높은 가격으로 성사되는 상승 매매였다. 25개 자치구 가운데 19개 구에서 8월에도 과반수 이상의 매매가 상승 거래로 집계됐다. 특히 용산구는 전월 대비 4.28%나 뛰었고, 광진·중구·마포·강남·강동 등 도심권에서도 상승 모멘텀이 지속됐다.
반대로 경기도와 인천은 6월 50% 안팎이던 상승 매매 비율이 7·8월 50% 밑으로 하락했고, 가격 상승 폭도 크게 위축됐다. 다만 과천과 성남 분당의 경우 8월에도 매매의 60% 이상이 상승 거래로 나타나 선호 지역과 외곽의 격차가 심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수도권과 대조적으로 지방은 6·27 규제 대상에서 제외돼 매매량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고, 가격 변동률도 0.62%에서 0.74%로 오히려 소폭 확대되며 안정적인 움직임을 나타냈다.
이번 분석을 통해 6·27 규제 조치 이후 부동산 시장이 거래량 위축과 지역별 가격 분화라는 두 가지 특징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음이 확인됐다. 매매량은 전국적으로 줄었지만 서울은 여전히 과반의 거래가 상승세를 기록하며 지역적 강세가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공급 부족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9·7 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지만, 실질적인 공급 물량이 시장에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중장기적으로는 공급 증대 기대감이 시장 불안을 완화할 효과가 있겠지만, 단기간 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는 제한적일 것"이라며 "당분간은 인기 지역 중심의 국지적 상승세와 양극화 현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