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군·태안군, 공공주도 해상풍력 사업 추진 본격화

2025.09.16
고흥군·태안군, 공공주도 해상풍력 사업 추진 본격화

전남 고흥군과 충남 태안군이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둘러싼 지역 갈등 해소와 성공적 사업 추진을 위해 각각 차별화된 접근 방식을 보이고 있다.

고흥군의 경우 어민들의 생존권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적극적인 소통에 나섰다. 군은 16일 팔영산홀에서 개최한 민관협의회를 통해 해상풍력특별법 기반의 투명한 사업 진행을 약속했다. 특히 지속적 어업활동 보장, 적정 보상, 어업수익 보전이라는 핵심 3대 원칙 중 단 하나라도 미충족될 경우 사업을 중단하겠다는 강력한 입장을 밝혔다. 김 양식업이 이뤄지는 해역의 민간 풍력단지는 어업인 의견을 존중해 공공개발 범위에서 배제했으며, 발전수익은 군민연금 형태로 20년간 주민들에게 환원할 계획이다.

태안군은 한국서부발전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사업 동력을 확보했다. 16일 서부발전 본사에서 체결된 업무협약은 태안화력발전소 단계적 폐쇄에 따른 경제적 공백을 메우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다. 올해부터 2032년까지 화력발전소 6기가 순차 가동중단되면서 약 11조원의 지역경제 손실과 3천여 명의 인구 유출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11조6천억원 규모의 해상풍력 투자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서부발전이 현재 추진 중인 1.4G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완공 시 14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며 연간 440만톤의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부발전은 공동접속설비, 송전인프라, 운영관리 전용항만 등 기존 시설의 공유 활용 방안을 검토하며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을 지원하기로 했다.

한편 철강업계와 풍력산업계도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나섰다. 한국철강협회와 한국풍력산업협회는 16일 맺은 업무협약을 통해 소재·장비 국산화 확대, 공급망 안정화, 품질관리 고도화 등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가 제시한 2030년 18.3GW, 2038년 40.7GW의 풍력발전 설비 확충 목표 달성을 뒷받침하는 산업생태계 조성이 목적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전력수요 급증과 탄소중립 달성 압박 속에서 해상풍력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 다만 울산 해역의 부유식 해상풍력 사례에서 보듯 건설비용 상승과 주민 수용성 확보 등의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어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