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15일부터 16일까지 양일간 진행되는 '삼성 AI 포럼 2025'를 통해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들과 인공지능 분야의 혁신적 연구 성과를 교류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하는 이 행사는 AI 분야의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미래 연구 방향성을 탐색하는 기술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전영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개막식에서 "삼성전자는 다양한 업무 영역에 AI 기술을 접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신속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포럼은 산업계와 학계의 대표적인 전문가들과 함께 AI가 사회와 산업을 어떻게 혁신시키는지 토론하고 지혜를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첫날 행사는 삼성전자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 주관으로 경기 용인에 위치한 삼성전자 더 유니버스에서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을 주제로 개최되었다. 사전 초청받은 200여 명의 참석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딥러닝 분야의 권위자인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가 기조 강연을 맡았다.
벤지오 교수는 현재의 AI 모델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간 통제 회피'와 '악의적 활용' 등의 잠재적 위험성을 분석하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인 '과학자 AI' 모델을 제시했다. 그는 "이 모델은 인간을 흉내내거나 만족시키려는 목적 없이 검증된 사실과 데이터에 근거해 솔직한 답변을 제공한다"며 "안전성과 과학적 발견의 가속화 관점에서 과학자 AI 기술의 중요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지멘스 EDA의 아밋 굽타 부사장은 'AI 기반 전자 설계의 미래'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반도체 전자 설계 자동화 툴에 AI를 융합하는 것이 무엇보다 핵심적"이라며 "AI의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하려면 전체 워크플로우에서 동작하는 엔드투엔드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삼성 AI 연구자상'에는 니콜라스 파프르노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로즈 유 UC 샌디에이고 교수, 르렐 핀토 뉴욕대 교수 등 3명이 수상했으며, 수상자들의 현장 발표도 이어졌다.
이튿날 진행될 2일차 포럼은 삼성전자 DX(디바이스경험) 부문이 담당하며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를 주제로 온라인에서 운영된다. 에이전틱 AI는 자율적 의사결정과 작업 수행이 가능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한다.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 겸 삼성리서치장은 "생성형 AI는 이미 일상생활과 산업 전반에서 필수 도구로 정착했다"며 "삼성전자는 본격적인 에이전틱 AI 시대에 대응해 사용자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AI 기술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둘째 날에는 조셉 곤잘레스 UC 버클리 교수가 거대언어모델 기반의 에이전트 능력 향상 연구 사례를 발표하고, 사용자와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 중 발생하는 유휴 시간을 활용한 '슬립타임 컴퓨트' 패러다임을 소개할 예정이다.
수바라오 캄밤파티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는 기존 거대언어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규모 추론 모델'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스테파노 에르몬 스탠퍼드대 교수는 이미지·영상·오디오 생성에 사용되던 확산 모델을 언어에 적용한 '확산 언어 모델'을 발표한다.
기술 세션에서는 삼성리서치 연구진들이 카메라 색온도 자동 조정 AI 기술, 지식 증류를 통한 효율적 거대언어모델 학습 방법, 스마트폰과 TV 등 전자제품의 온디바이스 기술, 실제 목소리 기반 더빙 음성 자동 생성 AI 기술 등 최신 연구개발 성과를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