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째 안장지 구하지 못한 전두환 유해, 연희동 자택 마당에 영구 봉안 검토

2025.09.14
4년째 안장지 구하지 못한 전두환 유해, 연희동 자택 마당에 영구 봉안 검토

올해 11월 사망 4주년을 맞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골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마당에 영구적으로 안치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지난 14일 "유골을 자택 정원에 영구 안치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전 대통령의 유골은 화장된 상태로 약 4년간 연희동 자택에 잠시 보관되고 있다. 전 대통령은 반란 및 내란 등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기 때문에 국가묘지 매장이 제한된 상황이다.

유가족들은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언급한 '북방의 땅이 보이는 접경 지역에서라도 해골이 되어 조국 통합의 순간을 맞이하고 싶다'는 염원에 따라 분단선 근처 안장을 시도해왔다. 작년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지역의 토지와 임시 계약을 체결했으나, 이 사실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주민들의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결국 토지 소유자가 부담을 느껴 계약을 철회하게 됐다.

그 이후로도 적절한 매장지를 찾지 못한 가족들은 현재 부인 이순자 씨와 가족 명의로 확실히 보유하고 있는 연희동 거주지의 정원을 최종 안식처로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2021년 해당 주택이 전 대통령의 명의 변경 재산이라고 판단해 회수 소송을 제기했으나, 올해 2월 서울서부지방법원이 "사망으로 인한 징수금 채권 소멸"을 이유로 기각 판결을 내렸다. 정부 측의 상고로 11월 20일 서울고등법원에서 2심 판결이 예정되어 있다. 전 대통령의 징수금 2천200억원 가운데 약 860억원은 여전히 회수되지 않은 상태다.

현재 연희동 주택에는 이순자 씨가 거주하고 있으며, 경찰 전담 보안팀이 하루 24시간 배치되어 있다. 임기를 마친 전직 대통령과 그 가족들은 대통령경호처로부터 10년간 경호를 받을 수 있고, 필요시 5년 더 연장이 가능하다. 그 후에는 경찰이 경호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경찰청에서 확보한 자료에 의하면, 작년 전담 경호팀 운영에 투입된 예산은 2천245만원으로 나타났다. 공공요금, 시설 및 장비 관리비, 출장비 등에 세금이 사용됐다. 경찰청은 보안상의 이유로 정확한 경호 인원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으나, 전 대통령 사망 당시인 2021년 기준으로 경정급 경호대장을 포함해 경찰관 5명이 기본 경호 인력으로 배치됐던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