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1월 사망 4주년을 맞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골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마당에 영구적으로 안치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지난 14일 "유골을 자택 정원에 영구 안치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전 대통령의 유골은 화장된 상태로 약 4년간 연희동 자택에 잠시 보관되고 있다. 전 대통령은 반란 및 내란 등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기 때문에 국가묘지 매장이 제한된 상황이다.
유가족들은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언급한 '북방의 땅이 보이는 접경 지역에서라도 해골이 되어 조국 통합의 순간을 맞이하고 싶다'는 염원에 따라 분단선 근처 안장을 시도해왔다. 작년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지역의 토지와 임시 계약을 체결했으나, 이 사실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주민들의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결국 토지 소유자가 부담을 느껴 계약을 철회하게 됐다.
그 이후로도 적절한 매장지를 찾지 못한 가족들은 현재 부인 이순자 씨와 가족 명의로 확실히 보유하고 있는 연희동 거주지의 정원을 최종 안식처로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2021년 해당 주택이 전 대통령의 명의 변경 재산이라고 판단해 회수 소송을 제기했으나, 올해 2월 서울서부지방법원이 "사망으로 인한 징수금 채권 소멸"을 이유로 기각 판결을 내렸다. 정부 측의 상고로 11월 20일 서울고등법원에서 2심 판결이 예정되어 있다. 전 대통령의 징수금 2천200억원 가운데 약 860억원은 여전히 회수되지 않은 상태다.
현재 연희동 주택에는 이순자 씨가 거주하고 있으며, 경찰 전담 보안팀이 하루 24시간 배치되어 있다. 임기를 마친 전직 대통령과 그 가족들은 대통령경호처로부터 10년간 경호를 받을 수 있고, 필요시 5년 더 연장이 가능하다. 그 후에는 경찰이 경호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경찰청에서 확보한 자료에 의하면, 작년 전담 경호팀 운영에 투입된 예산은 2천245만원으로 나타났다. 공공요금, 시설 및 장비 관리비, 출장비 등에 세금이 사용됐다. 경찰청은 보안상의 이유로 정확한 경호 인원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으나, 전 대통령 사망 당시인 2021년 기준으로 경정급 경호대장을 포함해 경찰관 5명이 기본 경호 인력으로 배치됐던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