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녹조 독성물질 논란, 정부-시민단체 첫 합동검증 시작

2025.09.15
낙동강 녹조 독성물질 논란, 정부-시민단체 첫 합동검증 시작

정부가 환경단체와 손잡고 낙동강 녹조 독성물질 검출 논란에 대한 첫 번째 합동검증에 돌입했다. 15일부터 시작된 이번 조사는 그간 상반된 조사결과로 갈등을 빚어온 양측이 객관적이고 투명한 해답을 찾기 위해 협력하기로 한 것이다.

환경부는 이날부터 낙동강네트워크와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 2곳과 함께 낙동강 본류 주요 녹조 발생구역 5곳에서 독성물질 검증작업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조사대상 지역은 대구 달성군 화원유원지와 달성보 선착장, 경남 창원시 본포수변공원, 창녕군 남지유채밭, 김해시 대동선착장 등이다.

앞서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올해 2월 낙동강 중하류 권역 녹조 밀집지역 2㎞ 반경 내 거주민 9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절반 가까운 46명의 비강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남세균이 만들어내는 독성성분으로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물질로 알려져 있다. 시민단체측은 이를 근거로 "낙동강 녹조가 사람 몸속에 직접 침투한 증거"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해왔다.

반면 환경부는 대기 중에서 조류독성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상반된 입장을 견지해왔다. 국립환경과학원이 2022년부터 매년 실시한 대기 중 조류독성물질 조사에서 현재까지 검출사례가 없다는 것이 정부측 주장이다.

정부는 지역사회의 우려를 달래기 위해 환경단체에 합동조사를 제안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하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논의가 다시 시작됐고, 환경단체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공동검증이 현실화됐다.

이번 합동조사는 각 지점에서 4차례씩 실시되며 원수와 대기 중 조류독성물질을 모두 검사할 계획이다. 국립환경과학원과 경북대학교가 조사기관으로 참여하며, 대기 중 시료 수집은 국립환경과학원이, 시료 내 독성물질 분석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핑콘트롤센터가 각각 담당한다.

다만 환경단체가 실시했던 인체 비강 내 조사는 이번 검증에서 제외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인체 대상 조사는 행정절차가 복잡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며 "향후 환경단체와 협의하여 필요시 진행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료 수집은 이달 내 마무리되고, 국립환경과학원과 경북대학교가 올해 안에 시료 분석을 완료할 예정이다. 환경부와 환경단체는 공동으로 조류독성물질 조사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올해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 원수와 대기 중 조류독성물질 공동조사 방향을 환경단체와 협의해 결정할 계획이다. 또한 관련기관, 시민사회,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녹조 문제 해결책을 지속적으로 모색해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