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천시가 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개발공사가 추진하는 고은리 행정복합타운 사업을 둘러싼 갈등에서 공식 해명에 나섰다. 시는 도청사 이전에는 적극 협력하지만 4700세대 규모의 대형 주거단지 조성은 지역 여건상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원찬 춘천시 스마트도시국장은 15일 시청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일부에서 강원개발공사의 주택건설 사업을 도청이전 사업과 같은 것으로 보려 하지만, 두 사안은 명백히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2022년 시장과 지사가 공동으로 발표한 합의사항인 도청 이전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지원해왔으나, 대규모 아파트단지 계획은 춘천시와 사전 논의 없이 진행됐으며 지역 수용능력을 벗어난다는 설명이다.
가장 핵심적인 걸림돌은 상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 문제다. 시는 계획대로 주택단지가 들어설 경우 필요한 상수도량이 하루 9480톤, 발생하는 하수량은 1만25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춘천시의 처리 역량을 초과하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특히 강개공 계획에 따라 하수를 방류할 경우 공지천 일대에 냄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시민들의 동의 과정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재정 확보 측면에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전체 사업비 6600억원 중 도의회가 도유지 현물출자에 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비의 56%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이 국장은 "해당 부지에 미디어타운이 들어섰다면 문제없었겠지만, 4700세대 아파트가 추가로 건설되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라며 "춘천시가 감당 가능한 범위의 도시개발 계획을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강원개발공사는 춘천시의 서류 반려 결정에 대해 "도의 핵심 정책사업임에도 시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과정도 거치지 않고 춘천시가 일방적으로 반려 결정을 내린 것"이라며 "더 이상의 추가 보완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으로 판단되며, 도민 이익과 지역발전을 위한 후속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맞섰다.
한편 춘천시는 주택단지 조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겠다는 여지를 남겼다. 또한 이미 합의된 강원도청과 공공기관 이전 계획에 대해서는 변함없이 협력하겠다는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